-
장구채의 효능산야초/산야초(초본) 2013. 6. 14. 13:01장구채 [Melandryum firmum]:석죽과(石竹科 Caryophyllaceae)에 속하는 2년생초.키는 80㎝ 정도 이고, 털이 없는 녹색이지만 마디부분은 흑자색이다. 잎은 마주나는데 마주 달린 잎자루는 줄기를 감싸며 마디는 관절처럼 볼록하다. 잎은 긴 타원형으로 길이가 3~10㎝이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은 7월에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2~3개씩 모여나 전체적으로는 층층이로 핀다. 꽃자루는 1~3㎝ 정도이고 꽃받침과 꽃잎은 5장이다. 흰색의 꽃잎은 끝이 2개로 갈라져 있으며 10개의 수술과 3개의 암술대가 있다. 열매는 긴 난형으로 길이는 7~8㎜이고 끝이 6개로 갈라져 있다. 서로 융합한 꽃받침은 열매를 둘러싸고 끝까지 남아 있다. 씨는 콩팥 모양으로 적갈색이고 작은 돌기가 있으며 최유·통혈맥·유소·청열해독·지혈·치열·중이염·인후통·이질·제습이뇨 등에 사용된다.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있는 것을 털장구채(Melandryum firmum for. pubescens)라 하고, 한국에는 이외에도 같은 장구채속(─屬 Melandryum)에 애기장구채(M. apricum)·분홍장구채(M. capitatum)를 비롯한 7~8종(種)이 자생한다.
꽃모양이 장구를 치는 채 같아서 장구채라 한다.장구채도 종류가 아주 많아 초보자로서는 구별하기 어렵다.
털, 말냉이, 애기, 울릉, 오랑캐, 층층, 끈끈이, 한라, 분홍, 명천, 갯, 흰갯장구채 등이 있다.
식물명=장구채(쌍떡잎식물,중심자목 석죽과 두해살이풀/다른이름=여루채(女婁菜)·견경여루채(堅梗女婁菜)라고도 한다
학명=Melandryum firmum분류=쌍떡잎식물 중심자목 석죽과의 두해살이풀
장구채
키는 80㎝ 정도 이고, 털이 없는 녹색이지만 마디부분은 흑자색이다. 잎은 마주나는데 마주 달린 잎자루는 줄기를 감싸며 마디는 관절처럼 볼록하다. 잎은 긴 타원형으로 길이가 3~10㎝이며, 가장자리에 털이 있다. 꽃은 7월에 줄기 끝이나 잎겨드랑이에서 2~3개씩 모여나 전체적으로는 층층이로 핀다. 꽃자루는 1~3㎝ 정도이고 꽃받침과 꽃잎은 5장이다. 흰색의 꽃잎은 끝이 2개로 갈라져 있으며 10개의 수술과 3개의 암술대가 있다. 열매는 긴 난형으로 길이는 7~8㎜이고 끝이 6개로 갈라져 있다. 서로 융합한 꽃받침은 열매를 둘러싸고 끝까지 남아 있다. 씨는 콩팥 모양으로 적갈색이고 작은 돌기가 있으며 최유·통혈맥·유소·청열해독·지혈·치열·중이염·인후통·이질·제습이뇨 등에 사용된다. 전체에 부드러운 털이 있는 것을 털장구채(Melandryum firmum for. pubescens)라 하고, 한국에는 이외에도 같은 장구채속(─屬 Melandryum)에 애기장구채(M. apricum)·분홍장구채(M. capitatum)를 비롯한 7~8종(種)이 자생한다.
[분홍장구채]
장구채의 효능장구채의 모든 종류는 활혈통경, 하유의 효능이 있어, 생리불순, 생리통, 산후젖부족, 유방염, 폐암, 복수암, 콩팥결석을 녹이며 맛은 쓰고 성질은 평하다.
장구채 이용방안
▶전초(全草)는 女婁菜(여루채), 종자는 王不留行(왕불류행)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女婁菜(여루채)
①7-8월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血活(혈활), 調經(조경), 利水(이수), 通乳(통유), 健脾(건비)의 효능이 있다. 월경불순, 少乳(소유), 小兒疳積(소아감적), 虛浮(허부-쇠약), 咽喉腫痛(인후종통), 중이염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6-12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환부에 塗布(도포)한다.
⑵王不留行(왕불류행)
①약효 : 活血(활혈), 通經(통경), 催乳(최유), 消腫(소종), 斂瘡(염창)에 효능이 있다. 무월경, 乳汁不通(유즙불통), 난산, 血淋(혈림), 癰腫(옹종), 金瘡出血(금창출혈)을 치료한다.
②용법/용량 : 4.5-9g을 달여 복용하거나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복용한다. <외용> 분말하여 고루 塗布(도포)한다.이미지 출처 http://cafe357.daum.net/_c21_/bbs_search_read?grpid=1DFpc&fldid=74PL&cont
[장구채]
잎은 대생하며 긴 타원형, 난형 또는 넓은 피침형이고 양끝이 좁으며 길이 3~10㎝, 폭 1~3㎝로서 가장자리에 털이 있고 흔히 양면에도 털이 약간 있으며 엽병이 없다.
꽃은 7월에 피며 곧게 서고 엽액과 원줄기 끝에 취산화서가 층층으로 달리며 포는 밑부분 양쪽이 흔히 막질로 되고 소화경은 길이 1-3㎝로서 털이 없이 가늘고 길다. 꽃받침은 난상 원통형이며 끝이 5조각으로 얕게 갈라지고 털이 약간 있거나 없으며 길이 7~10㎜로서 10맥이 있다. 꽃잎은 백색이고 5개이며 끝이 2개로 갈라지고 인후부(咽喉部)에 2개의 인편이 있으며 10개의 수술과 3개의 암술대가 있다.
열매는 삭과 난형이고 길이 7-8㎜로서 대가 짧으며 끝이 6개로 갈라지고 숙존악이 있다. 종자는 신장형이며 자갈색이고 겉에 소돌기가 있다.
줄기는 곧게 서고 분지하지 않으며 높이 30-80㎝로서 털이 없고 밋밋하며 자줏빛이 도는 녹색이지만 마디부분은 흑자색이다.
[층층장구채: 이미지 출처 http://blog.daum.net/jbs0001/11424393]
[효능]
전초(全草)는 女婁菜(여루채), 종자는 王不留行(왕불류행)이라 하며 약용한다.
여루채(女婁菜)
①7-8월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약효 : 血活(혈활), 調經(조경), 利水(이수), 通乳(통유), 健脾(건비)의 효능이 있다. 월경불순, 少乳(소유), 小兒疳積(소아감적), 虛浮(허부-쇠약), 咽喉腫痛(인후종통), 중이염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6-12g을 달여서 복용한다. 짓찧어서 환부에 塗布(도포)한다.
[층층자구채: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rkdfmdtksdkrghl/8w1i/368?docid=18YMB|8w1i|368|20091116225352]
왕불류행(王不留行)
①약효 : 活血(활혈), 通經(통경), 催乳(최유), 消腫(소종), 斂瘡(염창)에 효능이 있다. 무월경, 乳汁不通(유즙불통), 난산, 血淋(혈림), 癰腫(옹종), 金瘡出血(금창출혈)을 치료한다.
②용법/용량 : 4.5-9g을 달여 복용하거나 丸劑(환제), 散劑(산제)로 복용한다. 분말하여 고루 塗布(도포)한다
[질병 다스리기]
월경통으로 어혈이 막혀 흐르지 못할 때 :
천궁, 도인, 생강, 설탕을 가미해 끓여서 온복한다. 만약 피가 뜨거워서 생기는 월경통으로 경혈이 선홍색이고 복통이 있을
경우엔 적작약, 목단피, 황금을 가미해서 끓여 따뜻하게 해서 마신다.
십이지장 출혈에 의해 대변 후 혈색이 자갈색으로 되거나 또는 대변에 붉은 기름모양의 것이 있을 때 :
장구채, 지유탄, 황련, 마치현을 배합해서 쓴다.
비점막의 염증으로 탁한 콧물이 나올 때 : 장구채를 분말로 해서 코에 넣으면 좋은 소염효과가 난다.
유옹 또는 유선염에 : 장구채, 황련, 포공영, 금은화를 배합하여 사용하면 항균, 소염, 배농의 효과를 얻는다.
젖이 잘 안나올 때 : 장구채씨를 보드랍게 가루 내어 한 번에 3~4g씩 세 번 빈속에 먹는 것도 효과가 있습니다.
단, 하혈이 있는 사람은 먹지 말아야 합니다.
'산야초 > 산야초(초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옥잠화의 효능 (0) 2013.06.14 대황(大黃,장군풀)의 효능 (0) 2013.06.14 마편초(말초리풀)의 효능 (0) 2013.06.14 홀아비꽃대(은선초)의 효능 (0) 2013.06.14 여뀌의 효능 (0) 2013.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