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옥잠화의 효능
    산야초/산야초(초본) 2013. 6. 14. 13:10

     

    옥잠화 [Hosta plantaginea]백합과(百合科 Lili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옥잠화 /옥잠화 (Hosta plantaginea)(Fragrant Plantain Lily, 뜻: 침착, 조용한 사랑)
    중국에서 들어온 식물로 널리 재배되고 있다. 뿌리줄기는 굵다. 둥근형의 잎은 잎자루가 길며 길이 15~22㎝, 너비 10~17㎝ 정도로 끝은 뾰족하고 기부는 오목한 심장형이다. 잎맥은 가장자리와 평행한 나란히맥이다. 꽃줄기는 뿌리에서 높이 올라오는데 길이가 60㎝에 이르고 흰색의 긴 깔때기 모양의 꽃은 총상(總狀)꽃차례를 이룬다. 열매는 삭과(?果)로, 삼각형 모양의 원주형태이며 길이가 6.5㎝ 정도이다. 밀원식물로 잎과 꽃이 아름다워 원예용으로 재배되며, 잎은 식용한다.

     

    두메옥잠화(백합과) - 나도옥잠화, 제비옥잠화라고도 부르며, 우리나라 각처의 높고 깊은 산의 나무 그늘 밑에 자라는 높이 30cm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뿌리줄기는 짧고 질이 강인하며 많은 수염뿌리가 난다. 잎은 비교적 크고 3~5개가 뿌리에서 뭉쳐난다. 잎은 타원형 또는 도란형으로서 길이 8~25cm, 너비 3~16cm이다. 꽃줄기는 곧게 서고 가지가 갈라지지 않으며, 꽃이 핀 후에 자라는데 길이 60~80cm이다. 꽃은 흰색으로서 총상꽃차례로서 5~6월에 꽃줄기 끝에 5~12개의 꽃을 피우며, 열매는 남흑색으로서 둥글고 7~8월에 익는다. 뿌리를 포함하여 전체에 소염, 해독 효능이 있다. 독성이 있으므로 신중하게 사용해야 한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joo3287/16dk/5114?docid=oP9X|16dk|5114|20080908171649]

     

     

    옥잠화(玉簪花)의 전설 

    예로부터 우리나라 마당에 여름화초로 많이 심는 화초가 옥잠화다.

    이들 꽃은 중국 원산으로 백합과의 같은 속이며, 학명은 Hosta plantaginea라 부르고 있다.
    옥잠화(玉簪花)는 꽃이 비녀 모양으로 길쭉해서 붙여진 이름이라고 한다.

    고고한 학을 연상시켜서 백학선(白鶴仙)이라고도 하며 옥포화, 자잠, 백악, 옥춘봉이라는 별칭도 있다. 

    옛날 중국의 석주라는 곳에 피리의 명수가 살고 있었다. 어느 여름날 밤 누상에 올라가 밝은 달빛을 등지고 피리를 부는데,

    흥이 점점 가경에 이르러 자신도 도취되어 비장의 명곡을 연주하고 있었다. 그때 천지가 밝아지면서 한 선녀가 내려와서 "나는 달나라에서 온 선녀인데,  지금 분 그 곡이 얼마나 아름다운지 월궁의 공주님이 그 곡을 다시 한번 듣기를 원하니 한번만 더 불러 달라"고 간청했다. 그는 기꺼이 그 비곡을 다시 불었다.

    곡이 끝나고 피리소리가 멎은 후 선녀는 고맙다고 깊이 사례하고 하늘로 오르려 했다.

    그는 오늘의 이 영광을 길이 남겨 두고자하니 기념이 될 수 있는 것을 남겨 달라고 부탁했다.

    선녀는 아무 말 없이 자기 머리에 꽂았던 옥비녀를 뽑아 그에게 던져 주었는데,  그 옥비녀를 받다가 그만 그의 손을 스치며 누각 아래로 떨어져 아깝게도 부러지고 말았다.
    그 후 그 자리에 이름 모를 흰 꽃이 피었는데,
    그 꽃의 꽃봉오리가 선녀가 던져 주었던 옥비녀(玉簪)와 흡사했다.
    사람들은 이 꽃을 선녀가 남겨준 옥비녀의 기념품이라 하여 옥잠화(玉簪花)라 부르게 되었다고 한다.

     

    [이미지 출처 http://blog.daum.net/bong405060/12362361 ]

     

    [옥잠화의 효능]

    옥잠화는 외떡잎식물 백합목 백합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중국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심는다.

    옥잠화(Hosta plantaginea)
    긴옥잠화(Hosta plantaginea var. japonica)
    개옥잠화(Hosta sieboldiana) 등이 있다.     

    옥잠화를 옥비녀꽃,백학석이라고도 한다. 굵은 뿌리줄기에서 잎이 많이 총생한다.
    잎은 자루가 길고 달걀 모양의 원형이며 심장저로서 가장자리가 물결 모양이고 8∼9쌍의 맥이 있다.
    꽃은 8∼9월에 피고 흰색이며 향기가 있고 총상으로 달린다. 6개의 꽃잎 밑부분은 서로 붙어 통 모양이 된다.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kaon2002/Ncd/227?docid=NEmp|Ncd|227|20060724155813]



    꽃줄기는 높이 40∼56cm이고 1∼2개의 포가 달리며 밑의 것은 길이 3∼8cm이다. 화관은 깔때기처럼 끝이 퍼지고 길이 11 cm 내외이며 수술은 화피의 길이와 비슷하다. 열매는 삭과(殼果)로 세모진 원뿔 모양이고 종자에 날개가 있다. 꽃말은 ‘추억’이다.

    민간에서는 옥잠화의 꽃을 옥잠화(玉簪花)라 하고 뿌리줄기를 옥잠근(玉簪根)이라 하고
    개화기에 뿌리 및 전초를 채취하여햇볕에 말린것을 옥잠(玉簪)이라 하여 약용한다.

    옥잠(玉簪)은 기미가 차고 달고 맵으며 심경,간경으로 들어가며소종,지혈,해독의 효능이 있어 유옹,옹저,임파선염,인후염,토혈,붕루를 다스린다.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kyungju-kim/6Vh7/99?docid=1EETH|6Vh7|99|20090826182653/부레복잠화]


    ▶관상용
    ▶엽병을 식용한다.
    ▶花(화)를 玉簪花(옥잠화), 根莖(근경)을 玉簪花根(옥잠화근), 葉(엽)을 玉簪葉(옥잠엽)이라 하며 약용한다.
    ⑴玉簪花(옥잠화)
    ①약효 : 咽喉腫痛(인후종통), 小便不通(소변불통), 瘡毒(창독), 燒傷(소상)을 치료한다.
    ②용법/용량 : 2.5-3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 짓찧어서 塗布(도포)한다.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sjw1000/mAx/3922?docid=W5nJ|mAx|3922|20090831152959]


    ⑵玉簪花根(옥잠화근)
    ①성분 : 根(근)에는 coumarin類(류), triterpinoid, 다당류, amino酸(산) 등이 함유되어 있다.
    ②약효 : 消腫(소종), 해독, 지혈의 효능이 있다. 癰疽(옹저), 나력, 咽腫(인종), 토혈, 골경(목안에 魚骨(어골)이 걸려 있는 것)을 치료한다.
    ③용법/용량 : 3-9g을 달여 복용한다. 또는 짓찧어서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塗布(도포)한다.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maylove520/56q0/45?docid=Shy4|56q0|45|20090901123221]


    ⑶玉簪葉(옥잠엽)
    ①약효 : 癰疽(옹저), 정창, 蛇咬傷(사교상), 蟲刺傷(충자상)을 치료한다.
    ②용법/용량 : 신선한 것을 3-9g 달여 복용한다. 또는 짓찧어서 낸 즙을 술에 타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 즙을 塗布(도포)한다. 또는 즙을 귀에 點滴(점적)한다.

     

    '산야초 > 산야초(초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절국대(음행초)의 효능  (0) 2013.06.14
    항암 약초의 종류와 복용방법  (0) 2013.06.14
    대황(大黃,장군풀)의 효능   (0) 2013.06.14
    장구채의 효능  (0) 2013.06.14
    마편초(말초리풀)의 효능  (0) 2013.06.14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