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마편초(말초리풀)의 효능산야초/산야초(초본) 2013. 6. 14. 13:00마편초 (식물) [Verbena officinalis]:마편초과(馬鞭草科 Verben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남쪽 지방에서만 자란다. 곧추서서 자라는 줄기는 네모지고 키는 60㎝ 가량 자란다. 잎은 마주나며 날개깃처럼 갈라졌다. 꽃은 연한 보라색이며 7~8월에 수상(穗狀)꽃차례로 피고, 통꽃이지만 꽃부리가 5갈래로 갈라졌으며 꽃받침도 5조각으로 나누어졌다. 열매는 4개의 씨가 달라붙어 있는 사분과(四分果)로 맺힌다. 여름과 가을에 식물 전체를 캐서 그늘에 말린 마편초는 한방에서 월경불순이나 피부병, 생선에 체했을 때 쓰고 있다. 감기에 걸렸거나 몸에 부스럼과 같은 피부병이 생겼을 때 잎과 줄기를 달여 마시면 좋다.마편초는 들이나 길가에 저절로 자라는데 잎모양은 깃모양으로 깊이 찢어져 톱니가 있고 주색 꽃이 긴 이삭모양으로 핀다.
한방에서는 통경(通經)약으로 쓰이며 어혈로 목이 안 트일 때, 유옹종통, 잇몸에 고름이 날 때 쓰기도 한다.
[약효 및 이용방법]
- 치조농루 : 마편초 40g을 말려 달여서 하루분으로 마신다.
- 유옹종통(乳癰腫通) : 생 마편초 한 줌과 술 한 컵 그리고 생강 한쪽을 찧어 환부에 두껍게 발라 준다.
- 어혈 : 깨끗이 씻은 마편초를 짠 생즙을 숟갈로 5 ~ 6개 천천히 먹는다.
효 능 : 풀 전체 및 지상부 줄기를 통경. 학질. 해열. 태독. 이질. 수종. 촉산. 종기. 부스럼 등의 약으로 쓴다. 소염. 진통. 지혈. 항균. 유즙분비촉진 작용
[신성한 약초 마편초 ]
중세시대의 모든 사랑의 미약에는 마편초가 들어갔다. 또한 어린 아이들이 마편초 줄기를 몸에 지니고 다니면 행실이 좋고 활발해지며 지식에 대한 욕구가 많아진다고 생각했다. 이렇듯 마편초는 신성한 약초로서 병이나 불행을 막아주는 식물로 유명했다. 학명인 verbena는 라틴어로 '신성한 올리브 가지' '신성한 월계수나무'를 뜻한다.
[생김새 ]마편초(馬鞭草)는 남쪽 해안과 섬에서 자라는 마편초과의 여러해살이풀이다. 높이가 30∼60cm이고 원줄기는 사각형이며 전체에 잔털이 있고 곧추 자란다. 잎은 서로 마주보고 계란꼴이고 보통 3개로 갈라지며 갈래는 다시 깃털 모양으로 갈라지고 표면은 엽맥을 따라 주름살이 지며 뒷면은 맥이 튀어나온다.
꽃은 7∼8월에 피고 자주색이며 이삭 모양의 꽃차례는 원줄기 끝과 가지 끝에서 생긴다. 열매는 9∼10월에 열린다. 열매는 4개의 소견과로 뒷면이 줄이 지고 긴 타원형이다. 전초를 7∼9월 개화시기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쓴다.
[효 능 ]우수한 이뇨작용 오줌의 양을 매우 증가시켜 염증을 제거하므로 비뇨기계의 염증으로 결석, 요뇨 등의 증상이 있는 곳에 또 간경화로 인한 복수증의 치료에도 사용된다.
소염·청열·해독작용 마편초는 예부터 말라리아 치료약으로 사용되어 왔다. 주로 감염성 염증 및 농종, 습진의 치료에 사용된다. 『천금방』에는 마편초를 단미로 사용하여 말라리아를 치료하였다."라고 써 있다.
급성 장염, 이질에 효과 인진과 유사한 작용이 있어 황달성 간염의 예방과 치료에도 사용된다. 또한 간장을 부드럽게 하여 간 기능을 개선한다.
경증의 간경화 치료 이뇨효과 뿐만 아니라 간장의 축소와 연화(軟化)를 촉진한다. 비장이 부어 복수가 차는 경우에 마편초를 사용하면 이뇨와 퇴종의 쌍방의 효과를 얻는다.
활혈·산어작용 부인과에서 혈어, 기체에 의한 병증치료에 쓴다.
항암작용 다른 항암약과 배합해 간암, 위암, 자궁암, 직장암의 치료에 사용된다. [자료출처:http://cafe.daum.net/eillm ]
마편초/버베인 :학명 Verbena officinalis 영어 이름 Vervain 독일어 이름 Eisenkraut원산지 기후가 온난한 모든 곳의 길가나 습지
역사와 문화 마편(馬鞭)초는 작고 눈에 잘 띄지 않지만 고대에서는 가장 신비한 마력을 가진 허브 중의 하나로 간주되었다. 마편초는 신성시되었고 마편초로 사람들에게 마술을 걸 수 있다고 여겼으며 미약(媚藥)에 들어가는 중요한 재료 중의 하나였다. 옛 켈트 족의 사제(드루이드, Druid)들은 마편초의 가치를 높이 평가했고 마편초를 로마인들에게 소개한 것으로 추정된다. 로마인들은 외국에서 온 사자(使者)들이나 중요한 고위 관직자에게 마편초로 관을 만들어 머리에 얹어주었다. 또한 마편초를 묶어서 정결 의식에 사용하였고 신의 제단을 청소하는 도구로 사용하였다. 그들은 마편초의 신성함을 기리기 위해서 매년 버레날리아 (Verbenalia)라는 축제를 개최하기도 하였다. 켈트 족의 사제들은 제물을 제단에 차려놓기 전에 마편초 차로 제단을 씻었다. 마편초는 요술에 걸리지 않게 하고 악마를 막아주는 부적으로서 또한 주문과 예언 및 마법의 약으로서 중요한 가치가 있었다. 또한 기독교가 도래한 이후에도 마편초는 계속해서 신성한 식물로 여겨졌다. 전해오는 말에 따르면 마편초는 골고다 언덕의 십자가 밑에서 발견되었고 피를 흘리는 예수의 상처를 치료하는 데 이용되었다고 한다. 마편초는 신성한 것으로 여겨서 채집하기 전에 성호를 긋고 축복을 기원하였다고 한다. 중세의 마술사들은 마편초가 상처를 낫게 한다고 믿었다. 그래서 마편초는 전쟁터에서 입은 상처를 치료하고 영웅들이 죽게 하지 않는다는 명성을 가지고 있었다. 중세에는 전혀 의심 없이 마편초를 만병통치약이라고 믿었고 황달, 신장질환, 페스트, 심장병, 치통 그리고 난산과 출산에 약제로 이용되었다. 쿨페퍼는 마편초가 자궁을 강화하는 데 특효가 있다고 믿었다. 그에 따르면 마편초가 뜨겁고 건조하므로 모든 막힌 것을 뚫고 치료한다고 한다. 또한 마편초가 비너스에 속한다고 기록하고 있고, 로마인들도 실제로 마편초를 비너스 여신에게 봉헌하였으며 마편초를 비너스의 허브(Veneris herba)라고 명명하였다. 로마인들은 마편초가 꺼져 가는 사랑의 불씨를 되살릴 수 있고 최음제로서의 효과가 있다고 생각했다.그러한 이유로 로마시대의 신부들은 마편초를 결혼식 날 몸에 지니고 있었다. 마편초는 출산의 여신인 이시스(Isis)에게 봉헌되기도 하였다. 로마인들은 새해 첫날 마편초로 만든 향기가 좋은 작은 화환을 서로 선물하였고 연회장에 마편초 차를 뿌려서 손님들이 재미를 더하게 하기도 하였다. 중세시대에 만들었던 모든 사랑의 미약에는 항상 마편초가 들어갔다. 또한 어린이들이 마편초 줄기를 몸에 지니고 다니면 행실이 좋고 활달해지며 지식에 대한 욕구가 많아진다고 생각했다. 마편초는 마술이나 사랑과 관련된 신성한 약초일 뿐만 아니라 또한 병을 병이나 불행을 막아주는 것으로도 유명했다. 로마의 전령들은 마편초로 만든 작은 화환을 몸에 지니고 다님으로써 면역성이 강화된다고 믿었다. 그 당시에는 전령들을 버베나리우스(Verbenarius)라고 부르기도 하였다. 학명인 verbena는 라틴어로서 '신성한 올리브 가지'나 '신성한 월계수나무 가지' 또는 '신성한 미금양(Myrthe) 가지'를 뜻한다. 영어 이름인 vervain은 켈트어 fer-"제거하다"와 faen"돌"의 합성어 verfezen"돌을 제거한다"에서 유래하는 것으로 마편초를 방광결석을 제거하는 데 사용한 것이 명명의 동기가 된 듯하다. 한편 독일어 이름인 Eisenkraut는 "쇠(철)"을 의미하는 Eisen과 "풀"을 의미하는 Kraut의 합성어로서 마편초의 줄기 마치 쇠와 같이 질기기고 강인하다는 데서 유래한다는 설도 있고, 다른 한편으로는 쇠로 된 무기로 인한 부상을 막는 데 마편초가 유용하다고 믿은 민간신앙에서 유래한다는 설도 있다.
식물적 특성 마편초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서 키는 60-70cm까지 자란다. 줄기는 사각이며 가지를 왕성하게 친다. 잎은 마주나기를 한다. 줄기의 밑부분에 달린 잎은 잎줄기가 있고 잎은 길쭉한 모습이며 깊이 패인 톱니가 나있다. 줄기의 중간 부분에 난 잎은 세 갈래, 즉 세 개의 작은 잎으로 갈라져 있는데, 가운데 잎이 양 옆의 잎보다 크다. 줄기의 상부에 있는 잎은 단순하고 길쭉한 모습이다. 꽃이 피는 시기에 여러 개의 긴 대가 자라나 합쳐서 일종의 원추화서형의 이삭에서 피어난다. 꽃은 밝은 보라색이거나 분홍색이다.
이용부위: 7-8월 사이에 꽃이 피기 시작할 때 10-20cm 길이로 자른 꽃
주요 : 성분 버베날린(Verbenalin), 고미질, 약간의 정유 및 점액질
효능 :마편초의 효능은 과학적으로 명확하게 밝혀진 바가 없기 때문에 치료용 차로서 권장되지는 않는다. 그러나 여러 종류의 혼합차에 재료로 사용된다 또한 민간요법에서는 마편초의 쓴맛으로 인해서 입맛이 없을 때 식욕을 돋구어주는 것으로 잘 알려져 왔다. 인후통과 같은 구강이나 인후강의 점막질환과 기침 및 천식 등과 같은 기관지 질환에도 마편초를 사용하기도 한다. 뿐만 아니라 이뇨 작용과 결석제거를 통해서 간과 비장의 독소를 제거하는 기능이 있다고 한다. 해열작용과 류마티즘성 통증에도 마편초가 민간요법의 중요한 처방이기도 하다. 마편초는 내복할 때 보다는 외용으로 사용하였을 때 보다 좋은 효과가 있다. 특히 상처난 곳을 씻거나 양치물로 사용하면 좋은 효과를 보인다.
이용법 약 1 차 숟갈(1.5g)의 마편초에 뜨거운 물 150ml를 넣고 5-10분간 우려낸 뒤 매일 1-2 잔씩 뜨거운 상태에서 마신다.
부작용 및 주의사항 없음 [자료출처:http://cafe.daum.net/specialpt1/NinK/111]'산야초 > 산야초(초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대황(大黃,장군풀)의 효능 (0) 2013.06.14 장구채의 효능 (0) 2013.06.14 홀아비꽃대(은선초)의 효능 (0) 2013.06.14 여뀌의 효능 (0) 2013.06.14 깨풀의 효능 (0) 2013.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