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모(知母 제모,수삼)의 효능산야초/산야초(초본) 2013. 6. 14. 12:15
지모[知母] :지모는 백합과 다년생 초본 식물이다.
외떡잎식물 백합목 지모과의 여러해살이풀
중국이 원산지이고, 산과 들에서 자란다. 뿌리줄기는 굵고 옆으로 뻗으며 끝에서 잎이 뭉쳐난다. 잎은 줄 모양이고 길이가 20∼70cm이며 끝이 실처럼 가늘고 밑 부분이 서로 안기어 줄기를 감싸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잎맥은 나란히맥이다.
꽃은 6∼7월에 연한 자주색으로 피고 잎 사이에서 나온 꽃줄기에 2∼3개씩 모여 수상꽃차례를 이루며 달린다. 꽃줄기는 높이가 60∼90cm이고 달걀 모양의 길게 뾰족한 포가 달린다. 화관은 좁은 통 모양이고 길이가 7∼8mm이며 끝이 6개로 갈라진다.
수술은 3개이며 안쪽 화피 조각의 중앙에 붙는다. 열매는 삭과이고 긴 타원 모양이며 길이가 12mm이고 양끝이 좁으며 3실이다. 각 실에는 검은 색의 종자가 1개씩 들어 있고 종자에 3개의 날개가 있다.
뿌리줄기에는 약의 성분으로 쓸 수 있는 아스포닌·살사포케닌 등이 들어 있다. 한방에서는 뿌리줄기를 약재로 쓰는데, 해열제로 사용하고, 만성기관지염·당뇨병 등에 효과가 있다. 한국(황해·평남)·중국·몽골 등지에 분포한다.
뿌리에 융모가 많이 달려있고 단면의 색깔은 황금색이다. 뿌리의 모양은 지맹(
?) : 등에)과 비슷하기 때문에 지모(
母)라고도 부
른다. 후에 지모(
母)가 지모(知母)로 와전되었다는 설도 있다. 지모의 꽃은 4 월에 피는데 녹색과 자주색이며 "괴불주머니" 상이다. 괴불 주머니란? 오색 헝겁속에 솜이나 스펀지를 넣어 만들어 허리에 차는 어린 아이들의 노리개를 일컫는다. 지모는 해열작용과 항균작용과 간당원(肝糖元)을 하강시켜주는 작용이 있다.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kanggane7/Avyl/488?docid=1EBg3|Avyl|488|20090522170342]
다른이름 : 苦心(고심),?逢(구봉),?母(기모),鹿列(녹열),東根(동근),水凌(수릉),水參(수삼),兒踵草(아종초),兒草(아초),野蓼(야료),女雷(여뇌),女雷(여뢰),女理(여리),連母(연모),地參(지삼),昌支(창지),貨母(화모),?藩(침번),?母(지모),?母(제모)
약 맛 : 고(苦) 감(甘)
귀 경 : 폐(肺) 신(腎) 위(胃)
주 치 : 骨蒸,勞熱,大便燥結,?閉,淋症,煩熱,消渴,陽明裏熱太盛,陽明熱證,溫熱病邪入氣分,溫?,陰,發熱,陰虛咳嗽,二便不利,肺熱咳嗽,肺胃實熱證,風燥傷肺,?脹
약용부위 : 뿌리줄기
처 방 : 가미고본환(加味固本丸 ) : 의학입문
가미보음환(加味補陰丸) : 의학입문
금 기 : 脾胃虛寒으로 便?하거나 表證의 未解로 發熱하는 病證에는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지 않다.
산 지 : 의성
효 능 : 利水消腫,潤腸通便,滋陰潤燥,淸熱瀉火
주치증상 : "<本經(본경)>: 갈증이 나고 소변을 자주 보는 증상과 속에 열이 많은 것을 치료하고 邪氣(사기)를 제거하며 팔다리의 부종을 제거하며 인체의 수분을 배출시킨다. 또한 虛證(허증)을 치료한다.
<別錄(별록)> : 傷寒病(상한병)과 오래된 ?疾(학질)과 煩熱(번열)을 치료하고 옆구리 아래에 침범한 邪氣(사기)를 제거하고 가슴이 답답한 것을 치료하며 風邪(풍사)로 인한 發汗(발한)과 黃疸(황달)을 치료한다. 그러나 다량을 복용하면 설사가 난다.
<甄權(견권)> : 마음이 번잡하고 답답한 것, 陰虛(음허)로 인한 潮熱(조열), 출산 이후의 허약, 腎氣(신기) 허약, 오한과 번열을 치료한다.
<池大明(지대명)> : 熱邪(열사)로 인한 허약으로 전염병에 걸린 경우를 치료하고 小腸(소장)을 通(통)하게 하며, 가래를 삭히고 기침을 멎게 하며 心(심)과 肺(폐)를 윤택하게 하고 마음을 안정시켜 놀라는 것을 그치게 한다.
<張元素(장원소)> : 心(심), 胃(위), 膀胱(방광), 腎(신)의 火(화)를 제거하고 熱(열)이 극심해서 생기는 두통과 설사 및 요통을 치료하고 아울러 목구멍에서 냄새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
<王好古(왕호고)> : 肺(폐)의 火(화)를 제거하고 腎水(신수)를 보충하며 命門相火(명문상화)가 과도한 것을 치료한다.
<李時珍(이시진)> : 유산을 막고 임신으로 인하여 가슴이 답답한 것을 막고 물가의 해충으로부터 피해를 막아준다."肺의 火를 제거하고 腎水를 보충하며 命門相火가 과도한 것을 치료한다(王好古)
약물이름의 기원 : "이명으로는 ?母(지모), ?母(기모), 連母(연모), ?母(제모), 貨母(화모), 地參(지삼), 水參(수삼), 水凌(수릉), ?藩(침번), 苦心(고심), 兒草(아초), 兒踵草(아종초), 女雷(여뇌), 女理(여리), 鹿列(녹열), ?逢(구봉), 東根(동근), 野蓼(야료), 昌支(창지)가 있다.
李時珍(이시진) : 오래된 뿌리 옆에 새롭게 자라는 뿌리의 모양이 마치 등에나 개미의 모양과 같아서 ?母(지모)라고 하였는데, 글자를 잘못 써서 知母(지모)나 ?母(제모)가 되었다. 나머지는 이름에 대한 것은 자세하게 알 수 없다"[지모 이야기][자료출처:http://blog.daum.net/youngseok41/484]
옛날 옛적에 홀로 고독하게 살고있는 할머니가 있었다. 약초를 캐어 시장에 내다 팔아서 생긴 돈으로 겨우 생계를 유지하며 살고 있었다. 할머니는 마음이 담담하고 욕심이 전혀 없었다. 때때로 마을에 환자가 생기면 약초를 무료로 나누어 주고 치료방법도 알려주었다. 그래서 노파는 집안에 저축해 놓은 약초는 없었다.
채약사업도 여의치 않아 접어두고 문전걸식을 하러 나섰다. 노파는 매일 수심이 가득하여 마음이 무거웠으며 자신의 생활이 곤궁함을 개탄하였다. 노파는 약초 캐는방법과 의술을 어떻게? 누구에게 전해 줄까? 생각하고 있었다. 노파는 곰곰이 생각한 끝에 사방으로 후계자를 찾고 돌아다녔다. 알맞는 사람을 찾으면 그에게 약초의 분류방법과 약초의 사용방법을 전수하려고 마음 먹었다.
그래서 노파는 사람들에게 "누가 나의 의술을 원하는 사람이 있으면 내가 약초를 분별하는 법을 가르쳐 줄 수 있는데!" 하고 말했다. 얼마 오래지 않아 못된 생각을 품고있는 한 젊은 청년이 이 소식을 듣고 곰곰이 생각해 보았다. 젊은 청년은 "만일 내가 노파로부터 병을 치료하는 방법을 잘 배워서 관리들을 농락하는 수단으로 사용하면 괜찮을 것 같다" 고 혼자서 생각을 하고 있었다. 그래서 이 젊은이는 노파를 자기집으로 초청했다.
노파는 젊은이를 향하여 "먼저 너는 나를 너의 어머니로 대우를 잘 해주어야 한다." 고 말했다. 이 젊은 청년과 한 집에서 생활한지 벌써 십여 일이 지나갔다. 의외로 노파는 약초에 대해서는 일언반구도 가르쳐 주지 않았다. 젊은이는 불안하고 초조한 마음 가짐이었다. 그래서 젊은이는 "어머니! 어째서 나에게 약초에 대해선 지금까지 아무것도 가르쳐 주지 않습니까?" 하고 노파에게 물었다. 노파는 "너는 성질이 급하기도 하구나! 8 년 내지 10 년은 걸려야 된다." 고 젊은 청년에게 대답했다. 젊은이는 화가 머리 끝 까지 치밀어 올랐다. 그래서 노파를 자기집에서 내쫓아 버렸다.
노파는 냉소를 머금고 젊은이 집에 들어올 때 입고 들어왔던 남루한 옷으로 다시 갈아입고 묵묵히 젊은이의 집에서 나왔다.
어느 해 추운 겨울 날 노파는 어느 조그마한 마을에 도착되었다. 찬 바람이 옷속으로 술술 스며들어 오는 것을 막기 위하여 어느 집 대문앞에 머물러 있었다. 노파의 손과 발은 얼음장과 같이 차디찼으며 몸은 추위로 인하여 움츠러 들었다. 집안에서 한 사람이 노파를 바라보고 있었다. 급히 한 사람이 대문밖으로 뛰어나와 노파를 붙들고 집안으로 들어와 쉬어가라고 말했다. 나무꾼 부부는 노파를 매우 친절하고 따뜻하게 대해 주었다. 노파를 세심하게 잘 보살펴 주었다. 밥을 잘 얻어먹고 배가 부른 노파는 심신이 편안함을 느꼈다. 노파는 감사하다는 말과 함께 이제 작별인사를 하고 떠날 준비를 하고 있었다.
나무꾼 부부는 "일기도 찬데 문전걸식하는 것이 얼마나 고생스럽습니까? 우리 두 부부는 청빈한 생활을 하고 있습니다. 노파께서 싫어하지만 않으시다면 저희들과 함께 사는 것이 어떻습니까?" 하고 나무꾼 부부는 이구동성으로 노파에게 물었다.
노파는 나무꾼 부부의 마음속에서 진심으로 우러나오는 참된 말이다고 믿었다. 그래서 노파는 쾌히 그들의 청을 받아주었다.
어느 날 노파는 나무꾼 부부에게 "사실 내가 이렇게 당신들의 신세만 지고있는 것이 좋지 않다는 생각이 듭니다. 그래서 나는 이제 그만 당신들과 고별인사를 해야되겠습니다." 고 말했다.
나무꾼 부부는 "어머니께서는 자식이 없지않소! 우리들도 어머니가 없지않소! 그러므로 우리들 셋이 일가친척인양 살면 되지않습니까?" 하고 노파에게 물었다.
노파는 그들의 말에 크게 감동을 받았다. 그래서 노파는 "사실 나는 본래 약초를 캐는사람입니다. 지난 날 많은 사람들의 생명을 구하여 주었습니다. 나는 요즘 나의 의술을 계승할 사람을 찾고 돌아다니고 있습니다. 나는 현재 나이 80 인데 지금 까지 나의 생활에 만족하고 있습니다." 고 말했다.
그리고 나서 노파는 "나는 산에 올라가 아름다운 풍경을 한 번 보고 싶습니다." 고 말했다. 나무꾼 부부는 노파의 말을 듣자마자 "좋습니다.! 내가 어머니를 등에업고 산에 올라가겠습니다." 고 말했다.
노파는 "산중의 아름다운 풍경을 보고 싶은 것이 평소의 바램이었는데 오늘 이루어졌다" 고 말했다. 노파는 야초(野草)가 무성한 산비탈길을 걸어 다녔다.
노파는 큰 바위 위에 앉아서 흰 바탕에 자주색 꽃이 달린 잎이 가는 야초를 손가락으로 가리키며 "저기 보이는 저 풀의 뿌리는 폐열(肺熱)로 인한 기침과 피로하여 생기는 발열증상에 유효한 약초입니다. 그외에 음허폐열(陰虛肺熱)과 조해담소(燥咳痰少)와 열병후기(後期)와 음허저열(陰虛低熱)과 만성음허화왕(漫性陰虛火旺)과 골증조열(骨蒸潮熱)과 도한(盜汗)과 몽유(夢遺)와 소갈증(消渴症)과 위열구갈(胃熱口渴)과 같은 증상을 치료해 줍니다" 고 말했다.
나무꾼은 한참 동안 망설이면서 "어머님! 당신이 찾던 사람은 마음이 착한 사람이었지요! 만일 욕심꾸러기가 어머님의 의술을 전수받게 되면 그들은 나쁜 수단을써서 재물을 긁어 모으려고 할 것입니다. 그리고 그들은 가난한 사람들의 질병은 아예 치료해 주지 않으려니와 돈없고 불쌍한 사람들은 거들떠 보지도 않을 것입니다." 고 말했다.
노파는 "나는 이미 나이가 많고 다리에 힘도 없습니다. 그렇지만 나의 마음은 항상 넉넉합니다. 나는 당신들의 집에서 나의 일생 중 가장 행복한 생활을 했오. 당신 같은 사람을 만났기 때문에 나는 자상한 살핌을 받고 살뜰히 보살핌을 받은 것이오. 우리들은 이 약초의 이름을 지모知母)라고 칭해도 무방합니다. 왜냐하면 당신들이 나를 어머니로써 존경하고 잘 공양해 주었기 때문입니다" 고 말했다.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kyboncho/If0g/53?docid=14Kvi|If0g|53|20080501225014]
[지모의 효능] [자료출처:http://cafe.daum.net/jes91/NGo8/28]
다른이름 : 苦心(고심),?逢(구봉),?母(기모),鹿列(녹열),東根(동근),水凌(수릉),水參(수삼),兒踵草(아종초),兒草(아초),野蓼(야료),女雷(여뇌),女雷(여뢰),女理(여리),連母(연모),地參(지삼),昌支(창지),貨母(화모),?藩(침번),?母(지모),?母(제모)
약 맛 : 고(苦) 감(甘)
귀 경 : 폐(肺) 신(腎) 위(胃)
주 치 : 骨蒸,勞熱,大便燥結,?閉,淋症,煩熱,消渴,陽明裏熱太盛,陽明熱證,溫熱病邪入氣分,溫?,陰,發熱,陰虛咳嗽,二便不利,肺熱咳嗽,肺胃實熱證,風燥傷肺,?脹
약용부위 : 뿌리줄기
처 방 : 가미고본환(加味固本丸 ) : 의학입문
가미보음환(加味補陰丸) : 의학입문
금 기 : 脾胃虛寒으로 便?하거나 表證의 未解로 發熱하는 病證에는 사용하는 것이 적당하지 않다.
산 지 : 의성
효 능 : 利水消腫,潤腸通便,滋陰潤燥,淸熱瀉火
주치증상 : "<本經(본경)>: 갈증이 나고 소변을 자주 보는 증상과 속에 열이 많은 것을 치료하고 邪氣(사기)를 제거하며 팔다리의 부종을 제거하며 인체의 수분을 배출시킨다. 또한 虛證(허증)을 치료한다.
<別錄(별록)> : 傷寒病(상한병)과 오래된 ?疾(학질)과 煩熱(번열)을 치료하고 옆구리 아래에 침범한 邪氣(사기)를 제거하고 가슴이 답답한 것을 치료하며 風邪(풍사)로 인한 發汗(발한)과 黃疸(황달)을 치료한다. 그러나 다량을 복용하면 설사가 난다.
<甄權(견권)> : 마음이 번잡하고 답답한 것, 陰虛(음허)로 인한 潮熱(조열), 출산 이후의 허약, 腎氣(신기) 허약, 오한과 번열을 치료한다.
<池大明(지대명)> : 熱邪(열사)로 인한 허약으로 전염병에 걸린 경우를 치료하고 小腸(소장)을 通(통)하게 하며, 가래를 삭히고 기침을 멎게 하며 心(심)과 肺(폐)를 윤택하게 하고 마음을 안정시켜 놀라는 것을 그치게 한다.
<張元素(장원소)> : 心(심), 胃(위), 膀胱(방광), 腎(신)의 火(화)를 제거하고 熱(열)이 극심해서 생기는 두통과 설사 및 요통을 치료하고 아울러 목구멍에서 냄새가 나는 것을 치료한다.
<王好古(왕호고)> : 肺(폐)의 火(화)를 제거하고 腎水(신수)를 보충하며 命門相火(명문상화)가 과도한 것을 치료한다.
<李時珍(이시진)> : 유산을 막고 임신으로 인하여 가슴이 답답한 것을 막고 물가의 해충으로부터 피해를 막아준다."肺의 火를 제거하고 腎水를 보충하며 命門相火가 과도한 것을 치료한다(王好古)
약물이름의 기원 : "이명으로는 ?母(지모), ?母(기모), 連母(연모), ?母(제모), 貨母(화모), 地參(지삼), 水參
(수삼), 水凌(수릉), ?藩(침번), 苦心(고심), 兒草(아초), 兒踵草(아종초), 女雷(여뇌), 女理(여리), 鹿列(녹열), ?逢(구봉), 東根(동근), 野蓼(야료), 昌支(창지)가 있다.
李時珍(이시진) : 오래된 뿌리 옆에 새롭게 자라는 뿌리의 모양이 마치 등에나 개미의 모양과 같아서 ?母(지모)라고 하였는데, 글자를 잘못 써서 知母(지모)나 ?母(제모)가 되었다. 나머지는 이름에 대한 것은 자세하게 알 수 없다"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kyboncho/If0g/53?docid=14Kvi|If0g|53|20080501225014]
<민간요법>
- 감기, 폐렴, 두통 : 뿌리 6 ~ 12g을 물200cc로 달여서 하루3번에 나누어 마신다.
- 강화(降火) : 뿌리 3 ~ 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 ~ 3회씩 3 ~ 4일 복용한다.
- 갱년기 장애(更年期 障碍) : 뿌리 4 ~ 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 ~ 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 담(痰) : 뿌리 3 ~ 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 ~ 3회씩 3 ~ 4일 복용한다.
- 당뇨(糖尿) : 뿌리 3 ~ 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 ~ 3회씩 10일 이상 복용한다.
- 발한(發汗) : 뿌리 4 ~ 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 ~ 3회 복용한다.
- 방광결석(膀胱結石) : 뿌리 4 ~ 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 ~ 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 방광염(膀胱炎) : 뿌리 4 ~ 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 ~ 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 번만(가슴속이 답답한 증세) : 덩이뿌리 4 ~ 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 ~ 3회씩 5~6일 복용한다.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treeherb/6rzc/204?docid=nTcU|6rzc|204|20090911235147]
- 설사(泄瀉) : 뿌리 4 ~ 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 ~ 3회 복용한다.
- 소담(消痰) : 뿌리 4 ~ 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 ~ 5회 복용한다.
- 소변불통(小便不痛) : 뿌리 4 ~ 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 ~ 3회씩 4 ~ 5일 복용한다.
- 신경쇠약(神經衰弱) : 뿌리 4 ~ 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 ~ 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 신경통(神經痛) : 뿌리 4 ~ 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 ~ 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 신기허약(腎氣虛弱) : 뿌리 4 ~ 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 ~ 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 이뇨(利尿) : 뿌리 4 ~ 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 ~ 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 조갈증(操喝症) : 뿌리 4 ~ 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 ~ 3회씩 4 ~ 5일 복용한다.
- 진정(鎭靜) : 뿌리 4 ~ 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 ~ 3회씩 4 ~ 5일 복용한다.
- 진통(陣痛) : 뿌리 4 ~ 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2 ~ 3회 복용한다.
- 진해(鎭咳) : 뿌리 4 ~ 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 ~ 3회씩 5일 이상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 해수(咳嗽) : 뿌리 4 ~ 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 ~ 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 해열(解熱) : 뿌리 4 ~ 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4 ~ 5회 복용한다.
- 호흡곤란(呼吸困難) : 뿌리 4 ~ 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 ~ 3회씩 4 ~ 5일 복용한다.
- 황달(黃疸) : 뿌리 4 ~ 5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1일 2 ~ 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주의>
하초(下焦)의 병에 쓰는 약인데 허약해진 지 오랜 사람에게 쓸 때에는 술에 담갔다가 햇볕에 말려[酒浸暴乾] 써야 한다. 왜냐하면 약의 성질이 차므로 위기(胃氣)를 상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산야초 > 산야초(초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질풀(현지초,노관초)의 효능 (0) 2013.06.14 백미꽃(민백미꽃)의 효능 (0) 2013.06.14 범부채의 효능 (0) 2013.06.14 금불초(선복화)의 효능 (0) 2013.06.14 현삼의 효능 (0) 2013.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