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범부채의 효능
    산야초/산야초(초본) 2013. 6. 14. 12:13

     

    범부채 [blackberry lily]:leopard lily라고도 함.
     
    붓꽃과(―科 Irid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뿌리줄기는 짧게 옆으로 뻗으며, 줄기는 위로 곧추서서 키가 1m까지 자란다. 잎은 피침형(披針形)으로 어긋나고, 줄기 양쪽으로 편평하게 2줄로 달린다. 7~8월에 황적색의 꽃이 줄기 끝에 몇 송이씩 모여 피고 6장의 꽃덮이조각[花被片]으로 되어 있으며, 열매는 삭과(蒴果)로 익는다.
    흔히 관상용으로 뜰에 널리 심으며, 배수가 잘 되고 모래가 섞인 점질토양에서 잘 자란다. 추위에도 꽤 견디나 양지바른 곳에서 잘 자란다. 가을에 캔 뿌리줄기에서 잔뿌리를 제거한 뒤 그늘에 말린 것을 사간(射干)이라 하는데, 특이한 향기와 매운 맛을 지닌다. 한방에서는 이를 해독제, 통경제, 완하제, 편도선염 또는 부종 치료에 사용한다. 담황색의 더 작은 꽃이 피는 벨람칸다 플라벨라타(B. flabellata)는 같은 속에 속하며 동아시아가 원산인 또 다른 관상식물이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범부채의 효능]
    약효 : 降火(강화), 解毒(해독), 散血(산혈), 消痰(소담)의 효능. 喉痺咽痛(후비인통). 咳逆上氣(해역상기), 痰涎壅盛(담연옹성), 누력결핵, 栖母(학모), 婦女經閉(부녀경폐-무월경), 癰腫瘡毒(옹종창독)을 치료
     
    개화 : 8월. 황적색 바탕에 짙은 반점 /번식 : 실생 또는 분주로 번식한다
     
    속명 :  호선초. 편축란. 산포선. 금호접. 사간화.
    분포지 : 전국의 산 초원에 자라고, 관상초로 흔히 심는다.
    개화기 : 7 - 8 월
    꽃색 : 노란빛이 나는 붉은색
    결실기 : 10 월
    높이 : 50- 100 cm
    특징 : 뿌리 줄기가 옆으로 뻗으며, 꽃에 호랑무늬 반점이 있어 범부채라 한다.
    용도 : 관상용. 약용.
    생육상 : 여러해살이 풀
    효 능 : 뿌리 줄기를 소염. 진해. 편도선염. 진통. 폐염. 해열. 각기. 아통. 진경. 완화등의 약으로 쓴다.
     
    <민간요법>
    안질에는 말린 씨를 한 번에 한 할씩 달여 그 즙으로 눈을 씻거나 씨를 먹으면 낫는다. <민간약초>
    뿌리 줄기 또는 줄기 말린 것을 1일 10g 정도 달여서 마시거나 입을 세척하면 목구멍 부은데. 편도선염등에 효과가 있다. <위생총록]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차멀미,편도선염,인후통증,폐렴,해열...... 범부채의 효능  ]
     

    사간은 인후과의 중요한 약으로 열을 내리고 해독작용이 있어 열독을 없애고, 담열을 제거하여 인후의 기능을 이롭게 하는 약재이다. 사간은 인후질환의 원인이 되는 세균 및 바이러스에 대한 억제작용이 있고 해열, 진통, 소종의 효능을 가지고 있어 인후염으로 붓고 아플때 사간을 달여 헹구면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가래가 많으면서 기침을 할 때도 효과가 있다.


    범부채는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차고 독이 있다. 폐경, 간경, 비경에 작용한다.

    화(火)를 내리고 해독하며 혈(血)을 흩어지게하고 가래를 삭이는 효능이 있다. 후비인통, 해역상기, 담연옹성, 나력 결핵, 학모(?母: 학질모기의 교자(咬刺)로 인하여 매개되는 원충 감염증으로서 특이한 발작을 되풀이하는 열대병인 말라리아), 무월경, 옹종, 창독을 치료한다.


    채취는 봄, 가을에 캐내어 흙을 털어 버린 후, 줄기와 가는 뿌리를 잘라 버리고 햇볕에 절반쯤 말린다. 그 다음 수염뿌리를 태워 버리고 다시 햇볕에 말린다. 또는 불순물을 제거하고 세척하여, 잠시 침적한 후에 꺼내어 충분히 젖어 있을 때에 썰어서 햇볕에 말려, 체로 쳐서 수염뿌리와 찌꺼기를 제거한다.

    하루 3~6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하거나 가루내어 사용한다. 또는 신선한 것을 찧어서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시 가루를 내어 목에 불어넣거나 개어서 도포한다.

     

     


    안덕균씨가 쓴 <한국본초도감>에서는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붓꽃과의 여러해살이풀 범부채(Belamcanda chinensis Linne DC.)의 뿌리 줄기이다.

    맛은 쓰고 성질은 차다. 청열해독, 거담, 이인후의 효능이 있어, 열을 내리면서 인후염을 치료한다. 폐열로 인하여 기침을 하고 천식을 일으키는 증상에 유효하다. 결핵성림프선염 초기에 해열, 소염 작용을 나타낸다.

    성분은 belamcandin, iridin, tectoridin, tectorigenin, magniferink 등이 알려져 있다.

    약리 작용에서 피부진균 억제 작용이 있고, 호흡 기도에 침입한 바이러스를 억제시킨다. 항염증 작용과 혈압 강하 작용이 나타난다.

    임상보고에서 피부가 갈라지는 증상에 약물 달인 물에 소금을 넣고 30~40℃로 유지하면서 환부에 바른다. 소변 색깔이 우윳빛인 증상에는 15그램을 물을 넣고 달여서 설탕을 넣어 하루 3회로 나누어 복용한다.

     


    <동의학사전>에서는 범부채에 대해서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사간(射干) //범부채, 오선(烏扇), 오포(烏蒲), 오삽(烏?), 오취(烏吹), 초강(草薑)// [본초] 붓꽃과에 속하는 범부채(Belamcanda chinensis L. DC.)의 뿌리줄기를 말린 것이다. 각지의 산과 들에서 자라며 심기도 한다. 가을 또는 봄에 뿌리 줄기를 캐서 물에 씻어 햇볕에 말린다.

    맛은 쓰고 매우며 성질은 차다. 폐경, 비경, 간경에 작용을 한다.

    열을 내리고 해독하며 담을 삭이고 어혈을 없앤다.

    약리실험에서 해열작용, 소염작용, 진통작용, 강압작용, 억균작용 등이 밝혀졌다.

    인후종통, 열담(熱痰)으로 기침이 나면서 숨이 찬 데, 학질을 오래 앓아 비장이 커진데, 무월경, 입에서 냄새가 나는 데, 부스럼 등에 쓴다. 기관지염, 기관지천식에도 쓴다. 하루 3~9그램을 탕약으로 먹는다. 외용약으로 쓸 때는 가루 내서 목안에 불어넣거나 가루를 기초제에 개어 붙인다. 비장과 위장이 허한한 데는 쓰지 않는다.

     

     

     

    <남경민간약초>에서는 "근경, 꽃, 종자를 술에 담그어 복용하면 근골통을 치료한다."고 기록하고 있다. 

    근경을 射干(사간)이라 하며 약용한다.

    봄, 가을에 채취하여 줄기와 細根(세근)을 제거하고 반쯤 말려서 수염부리를 불에 태우고 다시 햇볕에 말린다.

    성분 : 근경에는 belamcandin, iridin, tectoridin, tectorigenin이 함유되어 있고 꽃과 잎에는 mangifrein이 함유되어 있다.

    약효 : 降火(강화), 解毒(해독), 散血(산혈), 消痰(소담)의 효능이 있다. 喉痺咽痛(후비인통). 咳逆上氣(해역상기), 痰涎壅盛(담연옹성), 누력결핵, 栖母(학모), 婦女經閉(부녀경폐-무월경), 癰腫瘡毒(옹종창독)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2.5-4.5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散劑(산제)로 또는 생즙으로 복용한다.

    외용 :가루 내어 목안에 吹喉(취후)하거나 고루 바른다.

    채취기 : 3~10월, 봄과 가을에 채취하여 줄기와 가는 뿌리를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중부지방의 초원, 산야에 자생하지만, 주로 전국 각지의 전원에서 재배한다.

    취급요령 : 햇볕에 건조, 쌀뜨물에 1~2일 담구었다가 햇볕에 말려서 사용한다.

    성미 : 차며, 쓰다.

     

     

    독성여부 : 없음 또는 소독(少毒): 비위가 약하거나 임산부는 피해야 하며 매우 높은 독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응급상황에서만 적은 양을 주의깊게 사용해야 한다. 쌀뜨물에 담궜다가 사용해야 한다.

    1회 사용량 : 뿌리줄기 2~4g

    사용범위 : 많이 쓰지 않는 것이 좋다.

    주의 :소화기가 약해 설사하는 사람이나 임산부는 금한다. 실화(實火)가 없는 사람, 오장이 허한한 사람, 병으로 실열이 없는 사람, 비위가 허약한 사람, 비허로 설사하는 사람에게는 적합하지 않다. 임신부는 복용해서는 안된다.

    명의별록: "장기 복용하면 허(虛)하게 된다."

    본초강목: "많이 복용하면 설사한다."

    신농본초경소: "비위가 허약한 사람, 오장이 허한한 사람, 기혈이 허한 사람, 병으로 실열이 없는 사람은 복용해서는 안 된다."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AromagardeN/CATf/1092?docid=1BTjr|CATf|1092|20090715145800]

     

     

    각기(脚氣) 뿌리 2~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2~3회 정도씩 2~3일 복용한다.

    강화(降火) 뿌리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3~4일 복용한다.

    거담(祛痰) 뿌리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3~4일 복용한다.

    구창(口瘡) 뿌리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1주일 정도 복용한다.

    담(痰) 뿌리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3~4일 복용한다.

    소염제(消炎劑) 뿌리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2~3회 복용하고 그 물로 환부를 닦는다.

    외이도염(外耳道炎) 뿌리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복용한다.

    인후통증(咽喉痛症) 뿌리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3~4일 복용한다.

    임파선염(淋巴腺炎) 뿌리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3~4일 복용한다.

    진통(陣痛) 뿌리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로 하여 2~3회 복용한다. 주침해서도 복용한다.

    진해(鎭咳) 뿌리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5일 이상 복용한다.

    차멀미 뿌리 3~4g을 1회분으로 달여서 복용한다.

    창종(瘡腫) 뿌리 20g 정도를 달여서 그 물을 5회 이상 환부에 바른다.

    편도선염(扁桃腺炎) 뿌리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3~4일 복용한다.

    폐렴(肺炎) 뿌리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해수(咳嗽) 뿌리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해열(解熱) 뿌리 3~4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4~5회 복용한다. 

     

    출처: http://blog.naver.com/imbjwoo/60054493815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