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호색의 효능산야초/산야초(초본) 2013. 6. 14. 11:58현호색 [Corydalis turtschaminovii]현호색과(玄胡索科 Fumari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한국 전역의 산과 들에서 자란다. 키는 20cm 정도로 땅속에 지름이 1cm 정도인 덩이줄기를 형성하고 여기에서 여린 줄기가 나와 곧게 서며 자란다. 기부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하나의 큰 인편(鱗片)이 있고, 여기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는데 1~2회 갈라지고 뒷면은 흰색을 띠며 잎자루가 길다. 4~5월에 연한 홍자색의 꽃이 총상(總狀)꽃차례를 이루며 피고 꽃부리[花冠]의 길이는 약 25㎜이다. 꽃잎은 입술꽃잎[脣瓣]으로 기부에 거(距)가 있다. 암술은 1개, 수술은 6개이다. 열매는 길이 2cm, 너비 3cm 정도로서 선형의 삭과(蒴果)로 익으며 양끝이 좁고 뾰족하다. 씨는 둥글고 광택이 있다. 현호색속(玄胡索屬 Corydalis)에 속하는 식물은 매우 다양하여 전세계에 걸쳐 300여 종(種)이 있고, 한국에는 현호색·빗살현호색(C.var. pectinata)·댓잎현호색(C. var. linearis) 등의 덩이줄기를 갖는 종들과 산괴불주머니(C. speciosa)·염주괴불주머니(C. heterocarpa) 등의 곧은 뿌리를 갖는 종(種)들을 포함해 21종 1변종 5품종이 자생한다. 덩이줄기에는 코리 달린(corydaline)·푸마린(fumarine) 등이 함유되어 있어 정혈제·진통제·진경제로 사용한다.
[현호색 내용과 효능]
현호색 [Corydalis turtschaminovii]:현호색과(玄胡索科 Fumari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한국 전역의 산과 들에서 자란다. 키는 20cm 정도로 땅속에 지름이 1cm 정도인 덩이줄기를 형성하고 여기에서 여린 줄기가 나와 곧게 서며 자란다. 기부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 하나의 큰 인편(鱗片)이 있고, 여기에서 가지가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는데 1~2회 갈라지고 뒷면은 흰색을 띠며 잎자루가 길다. 4~5월에 연한 홍자색의 꽃이 총상(總狀)꽃차례를 이루며 피고 꽃부리[花冠]의 길이는 약 25㎜이다. 꽃잎은 입술꽃잎[脣瓣]으로 기부에 거(距)가 있다. 암술은 1개, 수술은 6개이다.
열매는 길이 2cm, 너비 3cm 정도로서 선형의 삭과(蒴果)로 익으며 양끝이 좁고 뾰족하다. 씨는 둥글고 광택이 있다.
현호색속(玄胡索屬 Corydalis)에 속하는 식물은 매우 다양하여 전세계에 걸쳐 300여 종(種)이 있고,
한국에는 현호색·빗살현호색(C.var. pectinata)·댓잎현호색(C. var. linearis) 등의 덩이줄기를 갖는 종들과 산괴불주머니(C. speciosa)·염주괴불주머니(C. heterocarpa) 등의 곧은 뿌리를 갖는 종(種)들을 포함해 21종 1변종 5품종이 자생한다.
덩이줄기에는 코리 달린(corydaline)·푸마린(fumarine) 등이 함유되어 있어 정혈제·진통제·진경제로 사용한다.
[현호색 효능]
현호색은 혈(血)과 기(氣) 양쪽에 모두 작용하여 혈(血) 중에 있는 기(氣)가 막힌 증상을 치료하며, 기(氣) 중에서 혈(血)이 막힌 증상 모두를 치료한다.
따라서 혈과 기의 순환을 모두 용이하게 하는 약재이다. 또한 혈이나 기가 막힌 증상에는 통증이 동반되므로 기와 혈의 순환을 용이하게하여 통증을 멎게 하는 효능도 있다.
몸에 혈액 순환이 잘 이루어지지 못하여 생기는 가슴의 통증이나 팔 다리의 통증, 월경불순이나 월경이 고르지 못한 증상,
임산부가 해산 이후 생기는 통증이나 현기증, 가슴앓이와 아랫배가 아픈 것을 치료한다.
한방에서는 덩이줄기를 정혈제·진경제 및 진통제로 쓴다.
♠ 신경성 위병에는 현호색을 술에 20분 동안 담가두었다가 약한 불에 볶아서 부드럽게 가루내어 한 번에 4 ~ 6g씩 식전에 먹는다.
♠ 기관지염이나 기관지 확장증으로 기침이 나면서 가슴이 뻐근하고 통증이 올 때는 현호색, 황련을 같은 양으로 가루네어 1회에 10g씩 하루 세번 더운 물이나 술에 타서 먹는다.
♠위경련(가슴앓이)에는 헌호색 6 ∼ 8g을 가루내어 식후에 먹는다.
[애기현호색(Corydalis fumariaefolia Max.)] 애기현호색은 양귀비과에 소속되는 다년생 초본식물이며 우리나라 충북, 경기 광능, 함남 갑산 등지에 야생하는데 북쪽으로는 우수리지역 중국의 동북지역에까지 분포한다.
이 식물은 이른 봄에 자주빛깔의 꽃이 된다. 줄기의 높이는 최고 25cm내외까지 자라는데 잎은 대생한다. 과실은 삭과이고 장타원형인데 길이는 2cm내외이다. 이 식물뿐만 아니라 동속식 물에는 왜현호색, 좀현호색, 섬현호색, 들현호색들이 있는데 이들은 길이 10cm∼20cm, 지름 5∼20mm내외의 덩이줄기가 뿌리에 착생한다. 이 덩이줄기를 모아말린 것이 현호색(玄胡索 cordalis tuber)인데 오래전부터 동양각국에서 약용되어 왔다. 이 생약의 이름은 중국역대왕조의 성씨에 따라 변천하고 있다. 현(玄)씨가 왕가일 때는 연(延), 원(元)등으로 바꾸어 연호색, 원호색 등으로 불리웠고 원씨 왕가일 때는 현호색, 연호색 등으로 지칭되어 왔기 때문에 문헌상에는 이 세가지의 성씨를 붙인 한약의 이름이 있다. 이 식물의 덩이줄기에는 alkaloid가 약 0.5%내외 함유되어 있다. 즉 20여종의 알칼로이드가 함유되어 있는데 dl-tetrahydropalmitine, terahydrocoptisine 1-corydaline, proTopine, bulbocapnine, dehydrocorydaline 등이 함유되어 있다. 이 생약은 간(肝), 비장(脾臟)을 귀경(歸經)으로 하고 있어 동양의약에서는 혈액의 순환을 순조롭게 하고 기(氣 ch'i)의 흐름을 조정하고 통증을 억제하는 약물이어서 이기(利氣), 활혈(活血), 산어(散瘀)의 제효가 실제로는 menorrhalgia, hemorrhage에 쓰인다.
현재까지 밝혀진 약리작용을 요약해 보면 corydaline이 나 corybulbine의 다량투여에서는 마취적인 효과가 와서 진통제로서의 가치를 지니고 dl-tetrahydropalmatine과 bulbocapnine은 중추 신경계에 대해서 적은 효과가 있다. 진통효과는 corydaline의 투여에 의해 입증되었다. 또 corydaline은 Spasmolytic effect도 지니고 dehydrocorydaline은 위액의 분비를 억제하여 항궤양작용도 지니고 있다. 현호색의 약리작용은 매우 다양하다고 할 수가 있다. 이 생약의 성분인 bulbocapnine을 염산염으로 정제하여 제제화한 적이 있다. Merck사는 이 제제를 진전마비(震顫麻痺)의 치료제로 개발했었다. 또, 현호색의 총알칼로이드를 추출하여 그 1%액을 zudhusin이란 이름으로 주사제를 개발하여 신경통 등에 응용하였었다. 이 약은 실제에 있어서 진통, 진경약으로서 응용될 뿐만 아니라 소화성 궤양치료에도 쓰이며 중약 처방으로는 안중산(安中散) 등이 있다.
우리나라의 알칼로이드 자원으로서 제제개발의 소지가 크다고 할 것이다. 특히, 이들 알칼로이드는 독성이 낮고 제 4급 염기들의 항궤양 효과도 아울러 지니고 있어서 다중효과(多重效果)를 기대할 수 가 있다.'산야초 > 산야초(초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흰독말풀(만다라화,천사의 나팔꽃,앙금화)의 효능 (0) 2013.06.14 중대가리풀(아불식초)의 효능 (0) 2013.06.14 진범의 효능 (0) 2013.06.14 반디지치의 효능 (0) 2013.06.14 산해박(서장경)의 효능 (0) 2013.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