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형태: 겹꽃모양이며, 반투명의 아교질이다. 표면은 백색이며, 자실체의 끝은 물결모양이며, 자실층이 발달되어 있다. 포자문은 백색이다. 생태: 봄부터 가을에 걸쳐 활엽수의 죽은 나무 부러진 가지위에 발생하는 목재 부후성 버섯이다. 분포: 한국,일본,중국,아메리카 인도 오스트레일리..
이 땅에서 나는 자생버섯은 약 5000여 종으로 추정되며 그 중 우리가 먹을 수 있는 식용버섯은 300-500여 종이라고 한다. 그 중 옛부터 전해 내려오는 야생 식용버섯은 지방에 따라 차이는 있으나 30-40여 종이며 대표적인 야생 식용버섯으로는 능이, 송이, 표고, 느타리[미루나무버섯], 뽕나무..
산나물로 암을 정복 할수 있다 ‘산나물 전도사’로 불리는 강원대학교의 함승시 교수. 그는 우리 산야에서 자라는 산나물의 성분과 효능을 연구하고, 특히 산나물의 항암 효과에 대한 깊은 연구로 국내외에서 널리 인정받았다. 그러던 중 1991년 가을, 예기치 못한 위암 진단을 받고 위를 ..
큰앵초(-櫻草)는 앵초과에 속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깊은 산의 응달이나 물가나 습지에서 자란다. 키는 30~40 센티미터쯤 되며 전체에 잔털이 난다. 잎은 뿌리에서 나는데 잎자루가 15~25 센티미터로 길고, 길이나 너비가 6~15 센티미터쯤 되는 원형 또는 신장상 심장형이다. 가장자리가 얕..
식용가능한 산나물,들나물,나무새순,채소 ㄱ ▶ 가는기름나물 어린잎 ▶ 가는기린초 어린순 ▶ 강활 어린순(강호리) ▶ 가는갈퀴나물 어린순 ▶ 가는금불초 어린잎 ▶ 가는대나물 (두메마디나물) ▶ 가는등갈퀴 어린잎 및 줄기 ▶ 가는쑥부장이 어린순 ▶ 가는오이풀 어린잎 및 줄기 ▶ ..
1. 독초는 생김새 자체가 독특하다. 맹독성 식물로 알려진 ‘천남성’은 새싹이 나올 때 일반적인 식물과 달리 허물을 벗는 듯 싹을 틔우고 특이한 모양의 꽃을 피운다. 또한 ‘진범’이나 ‘흰진범’은 연녹색 잎에 반점과 무늬를 가지고 있다. sannamul.co.kr 이뿐만 아니라 독초는 꽃의 색..
고삼 대극 박새 으아리 큰연영초 개꽃무릇(상사화) 대나물 반하 은방울꽃 큰천남성 개발나물 독말풀 복수초 자주독말풀 투구꽃 개복수초 동의나물 사위질빵 젓가락나물 피나물 개족도리풀 두루미천남성 삿갓나물 족도리풀 할미꽃 괴불주머니 땅꽈리 솜방망이 종덩굴 현호색 까마중 만..
나물산행의 계절인것 같습니다. 나물산행에 앞서 다시한번 나물의 종류를 인지하고 숙지하는 의미에 몇가지의 사진을 올립니다. 비슷한 나물의 종류가 많씁니다.우리몸에 좋은나물과 해가 되는 나물이 있으므로 꼭! 자신이 아는 종류의 나물을 채취 하시기 바랍니다. 곤드레: 곤드레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