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천궁의 효능
    산야초/산야초(초본) 2013. 6. 13. 14:51

     

    천궁 (식물)  [Cnidium officinale]: 산형과(傘形科 Api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산형과 /천궁(Cnidium officinale)
    흔히 재배하는 식물로 키는 30~60㎝이다. 잎은 깃털 모양의 겹잎으로 어긋나는데 난형(卵形)의 잔잎은 깃털처럼 깊게 패어 있고 날카로운 톱니가 있다. 잎자루는 밑부분이 넓어 줄기를 감싼다. 흰색의 꽃은 겹산형[複傘形]꽃차례에 달리며 총포(總苞)와 작은 총포는 각각 5~6개로 선형이고 열매는 익지 않는다. 한국에는 같은 천궁속(川芎屬 Cnidium)에 속하는 식물로 잎이 깃털 모양의 겹잎이고 열매에 날개 같은 능선이 각각 10개가 있는 벌사상자(C. monnieri)·개회향(C. tachiroei)과 바닷가에서 비스듬히 자라고 겹산형꽃차례가 아닌 갯사상자(C. japonicum)가 자생한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고 뿌리는 음위·간질·대하·치풍 치료에 쓰고 보익제·진정제·진통제·강장제로 사용한다.
    한방에서 약제로 쓰는 천궁은 고르지 못한 혹 모양으로 덩어리를 이룬 뿌리줄기인데 길이 2~7㎝, 지름 2~5㎝이며 흔히 목심(木心)이 노출되어서 연쇄상으로 연결되어 있다. 암갈색을 나타내고 쭈글쭈글하며 도처에 평행한 결절상윤대(結節狀輪帶)와 근흔(根痕)이 있다. 쪼갠 면은 거칠고 연한 갈색이나 유황색을 나타내고 강한 방향(芳香)이 있다. 7~8월에 천궁이 완전히 성숙했을 때 채취하여 수염뿌리를 제거하고 건조시킨다. 성분으로는 휘발성 정유(精油), 알코올, 페놀성 물질, 새다논산 등이 있다.
    성질은 따뜻하고 독이 없으며 맛은 맵고 쓰다.
    주로 간경·담경·심포경(心包經)에 작용하며 삼초(三焦)에도 작용한다.
     
     
                                 천궁
     
    천궁의 효능으로는 활혈행기(活血行氣)·거풍지통(祛風止痛:풍사를 제거해서 통증을 치료함)이 있다.
    월경통·희발월경(稀發月經)·과소월경(過小月經)·무월경(無月經) 등으로 입술색이 담백하고 안면이 창백하며 하복통 등의 혈허증상(血虛症狀)이 있을 때는 천궁을 사용해서 활혈시키고 진통하며, 아울러 다른 양혈약(養血藥)을 배합한다.
    천궁의 성미(性味)는 신산(辛散)하여 거풍력(祛風力)이 강하므로 주로 풍한감(風寒感)의 두통이나 풍습(風濕)으로 인한 편두통에 유효하다. 따라서 온갖 두통에 사용하는 것은 아니다.
    간기울결(肝氣鬱結)로 인한 어혈두통(瘀血頭痛), 즉 신경증 등으로 인한 자율신경 실조로 두부혈관의 수축·확장에 장애가 생겼을 때 시호(柴胡)·지각(枳角)·적작약(赤芍藥)·도인(桃仁)·홍화(紅花) 등을 배합하여 간울(肝鬱)을 해소하고 활혈해서 거어지통(祛瘀止痛) 한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풍습이나 기체(氣滯)로 인한 혈관폐색이나 근육에 대한 혈액의 영양장애 등으로 인해 생긴 전신의 동통·마목(麻木)·마비에 사용한다. 다발성신경염·뇌혈관연축(腦血管攣縮)·뇌혈전후유증 등으로 인한 마비·류머티즘·만성신경염류머티즘 등에 의한 동통·마목·경련 등에 천궁을 다른 거풍양혈약과 같이 사용한다.
    이밖에 혈류를 촉진하여 다른 약의 작용을 도움으로써 담마진·습진 등에도 많이 배합된다. 이때 용량은 적은 편이 좋다.
    그러나 월경이 너무 많거나 출혈성 질환, 음허화왕(陰虛火旺) 등에는 사용해서는 안 된다.

     

    천궁

                               [이미지출처 : http://blog.daum.net/ydt6242/12943269 ]
     
    다른이름 : 京芎(경궁),芎?(궁궁),臺芎(대궁),撫芎(무궁),山鞠窮(산국궁),西芎(서궁),雀腦芎(작뇌궁),香果(향과),胡?(호궁)
    약      맛 : 고(苦)  신(辛)     
    귀      경 : 간(肝)  담(膽)    
    주      치 : 産後腹痛,産後血暈,癰腫,胃脘脹痛,跌打腫痛,風寒感冒,風寒頭痛,風寒濕痺,血瘀經閉,胸脇脹痛
    약용부위 : 뿌리줄기
    처       방 : 가감사물탕2(加減四物湯2) : 의학입문
    가미괴각환(加味槐角丸) : 의학입문
    금       기 : 陰虛火旺者와 上盛下虛 및 氣弱者, 高血壓, 發汗過多者는 服用을 忌한다.
    黃連·黃?·山茱萸·狼毒 등과 相惡한다. 藜蘆에 反한다.
    효       능 : 祛風燥濕,消腫排膿,行氣開鬱,活血止痛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주치증상 : "<本經(본경)>: 風邪(풍사)가 腦(뇌)로 들어가 두통이 생기는 것을 치료하고, 寒邪(한사)로 인하여 저리고 근육경련이 있는 경우를 풀어주며 金瘡(금창)과 女性(여성)이 어혈로 인하여 不姙(불임)이 되는 것을 치료한다.
    <別錄(별록)> : 머리 부분의 냉기를 없애고 얼굴 부위에 風邪(풍사)가 침범한 것을 치료하며, 눈물 콧물이 많은 것을 치료한다. 갑자기 취한 것 같이 몽롱한 것을 치료하고 모든 寒氣(한기)로 인한 증상과 복통을 치료한다. 또한 독한 邪氣(사기)의 침범으로 인한 갑작스러운 腫痛(종통), 옆구리 통증을 속을 따뜻하게 함으로써 치료한다.
    <甄權(견권)> : 허리와 다리가 무력한 것, 반신불수, 출산시 태반이 배출되지 않는 증상을 치료한다.
    <池大明(지대명)> : 모든 風邪(풍사)로 인한 병증, 氣病(기병), 과로로 인한 쇠약, 血病(혈병)을 다스린다. 五勞(오로)를 보충하고 근육과 골격을 튼튼하게 하고 모든 經脈(경맥)을 조화롭게 하고 ??(징가)와 오래된 血(혈)을 없애고 새로운 血이 생성되는 것을 돕는다. 피를 토하는 것, 코피, 소변에 피가 나는 것, 머리와 등 부위에 종기가 난 것, 임파선염, 痔疾(치질), 각종 피부병을 치료한다. 살을 돋게 하고 고름을 배출시키며 瘀血(어혈)을 제거한다.

     

     

                    

     


    <王好古(왕호고)> : 肝氣(간기)를 조화롭게 하고 肝血(간혈)을 보충하여 肝(간)의 陰(음)이 부족한 것을 보충하고 血虛(혈허)로 인한 風症(풍증)을 치료한다.
    <李時珍> : 체내에 濕(습)이 쌓인 것을 없애고 설사와 이질을 그치게 하며 氣(기)를 잘 통하게 하여 울체된 것을 풀어준다.
    <蘇頌(소송)> : 꿀과 함께 큰 알약으로 만들어 밤에 복용하면 風痰(풍담)에 특히 효과가 있다.
    <陶弘景(도홍경)> : 잇몸에서 피가 나는데 입에 물고 있으면 효과가 좋다."
    약물이름의 기원 : "이명으로는 芎?(궁궁), 胡窮(호궁), 香果(향과), 山鞠窮(산국궁)이 있다
    .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cuigen1964/8TWN/1712?docid=1A4il|8TWN|1712|20081228183623]

    李時珍(이시진) : 芎(궁)은 본래 營(영)이었으나 이름의 뜻이 명확하지 않다. 어떤이는 사람의 머리가 활처럼 위로 볼록하게 위로 솟은 것은 하늘을 본뜬 것이다. 이 약의 기운은 위로 올라가 머리 부위의 모든 질환을 치료하기 때문에 芎?(궁궁)이라는 명칭을 갖게 되었다고 하였다. 이것은 胡戎(호융)의 것이 좋기 때문에 胡窮(호궁)이라고 하였다. 옛 사람들은 그 뿌리의 마디가 말의 재갈과 비슷하기 때문에 馬銜芎?(마함궁궁)이라고도 하였다. 후세에서는 그 모양이 참새의 뇌와 비슷하다고 하여 雀腦芎(작뇌궁)이라고도 하였다. 약재가 關中(관중)에서 생산되는 것을 京芎(경궁) 또는 西芎(서궁)이라 하고, 蜀中(촉중)에서 생산되는 것을 川芎(천궁)이라 하였으며, 天臺(천대)에서 생산되는 것을 臺芎(대궁)이라 하고, 江南(강남)에서 생산되는 것을 撫芎(무궁)이라 하는데, 모두 지역에 따라 이름을 붙인 것이다. <左傳(좌전)>에서는 楚人(초인)이 簫人(소인)에게 麥曲(맥곡)이 있는가?, 山鞠窮(산국궁)이 있는가? 민물고기를 먹어 복통이 있으면 어떻게 하겠는가?나는 내용이 있는데, 이 두 가지 약재는 모두 濕(습)을 제어하기 때문에 반드시 그것에 대하여 알아야 한다는 말이다. 朱丹溪(주단계)가 六鬱(육울)을 치료할 때 사용한 越菊丸(월국환) 중에는 越桃(월도), 鞠窮(국궁)이 있는데 이로 인하여 명명된 것이다. <金光明經(금광명경)>에서는 ?莫迦(도막가)라고 하였다."

     

                               천궁

     

     

    천궁은 기름이 많은 약인데, 이 기름은 머리를 아프게 하는 성질이 있으므로 반드시 제거하고 써야 한다. 천궁의 기름은 뜨거운 곳에 들어가면 쉽게 기름이 빠지는데 너무 오랫동안 끓인 물에 담가 놓으면 약성까지도 빠져나갈 우려가 있으므로 약 5분정도가 적당하다. 천궁의 근경에는 1∼2%의 정유와 Amino산을 함유하고 있는데, 포기 전체가 강한 향기가 있어 한약 탕재시 약냄새가 많이 난다. 또한 5월 단오날 부인들이 잎과 줄기를 머리에 꽂기도 하며 그것을 달인 물로 머리를 감으면 머리카락이 윤택이 있어 즐겨 사용하기도 하였다. 우리나라에서는 부인병의 특효약으로 쓰이며 이것을 넣고 목욕하면 냉증이나 신경통, 혈액순환에 효력이 있다고 한다.


    재배적지는 내한성이 강해 아무리 추워도 동해를 잘받지 않고 월동하며, 미나리과 북방형 식물로서 비교적 서늘한 기후를 좋아하기 때문에 해발 300m 이상의 산간 고냉지인 중부이북 지방에서 많이 재배되고 있다. 부식질이 풍부한 사양토 또는 식양토(pH 6.5∼7.0)로써 배수가 잘 되고 표토가 딱딱하거나 얕지 않는 토양에서 생육이 양호하다.

    품종은 식물학상으로 분류는 되어있지 않으나 일본산인 일천궁과 국내산인 토천궁으로 구분되며, 번식은 꽃이 피나 종자를 맺지 못하므로 근경이나 노두로 번식하는데 일천궁은 주로 근경을 이용하고 토천궁은 노두 번식방법을 택하고 있다. 정식은 일천궁이 토천궁보다 추위에 약하므로 주로 봄에 심고 토천궁은 추위에 잘 견디므로 가을에 심는 것이 보통이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wooriddangkorea/4gRX/456?docid=xKqL|4gRX|456|20080428215631]


    川芎(천궁)은 미나리아제비과 다년생 초본 식물의 뿌리줄기이다. 줄기는 곧고 높이는 30∼60cm이며 속이 비어 있고 가지가 다소 갈라진다. 잎은 어긋나고 2회 3출 깃꼴겹잎이며 갈래조각은 달걀 모양의 바소꼴이고 다소 깊은 톱니가 있다. 뿌리잎과 밑부분의 잎은 긴 잎자루가 있고 밑부분이 잎집으로 되어 줄기를 감싼다. 꽃은 8월에 피고 흰색이며 복산형꽃차례를 이룬다. 꽃잎은 5개이고 안쪽으로 말리며 수술은 5개, 암술은 1개이다. 총포와 소총포는 각각 5∼6개이며 줄 모양이다. 열매는 열리지만 성숙하지 않는다. 땅 속에 있는 마디 사이는 길이 5∼10cm, 지름 3∼5cm의 덩어리처럼 생기고 강한 향기가 있다.


    천궁의 원산지는 중국 사천성 지방으로서 미나리과에 속하는 다년생 식물로 뿌리는 토란과 비슷하며 한약의 특수 향기 냄새는 바 로 이 천궁에서 난다. 품종은 토천궁과 일천궁이 있으며 재배적 지는 최고기온이 30℃ 이상이 장기간 되지 않는 지대가 높은 고냉지 지방이 좋으며, 가뭄이 심한곳은 생육이 불량하다. 토질은 부식질이 많은 사양토, 식양토로서 배수가 잘 되어야 하며, 연작 을 하면 병해충의 피해로 생육이 저조하므로 재배했던 포장은 5∼6년씩 다른 작물을 재배하는 것이 좋다. 토천궁의 주산지는 영 일, 평창 등이며 일천궁은 울릉, 봉화 등이다.

     

    - 토천궁 : 10월 하순∼11월 상순 잎이 황변 했을 때 수확하여 잔뿌리와 약근을 분리해 햇볕이나 건조기에 말린다 (인제, 봉화지방) 1,000㎡당 180∼240kg(건조품 90∼ 100kg) 정도이다.

    - 일천궁 : 잔뿌리를 따고 물로 씻어낸 다음 절단기에 얇게 썰어 고추건조기나 망사를 이용해 말림 10a당 1500∼2300kg(건조품 420∼600kg)정도이다


    <약리 작용>

    1. 중추신경계에 대한 작용-동물의 중추신경계에 대해 진정 작용한다.

    2. 심장 혈관에 대한 작용- 천궁의 침제는 마취시킨 동물의 혈압을 떨어뜨린다.

    3. 평활근에 대한 작용- 수축 작용

    4. 항균작용 : 대장균, 이질균, 프로테우스균, 녹농균, 상한균, 파라티푸스 및 콜레라균 등에 억제 작용한다. 또 천궁에는 일종의 항 비타민 E 결핍증 작용이 있고 비타민 E의 결핍에 의하여 생기는 영양성 뇌병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5. Ferulic acid가 진통, 진경 작용과 평활근 이완 작용을 하여 장관의 경련이나 임신자궁의 수축, 경련을 억제한다.

    6. 정유가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대뇌 활동을 억제하여 진정 작용을 하며 카페인의 흥분 작용에 길항한다.

    7. 관상동맥, 말초혈관을 확장하여 하지(下肢)와 심근(心筋)의 혈류량을 증가한다.

    8. 보통 1회 용량 3g이하에서는 혈압을 상승 시키고 3g 이상에서는 혈압을 저하시킨다.

     


     

    <이용>

    - 가슴이 냉한데 : 뿌리 3∼7g을 1회분 기준으로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5∼7일 복용한다.

    - 간질(癎疾) :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2∼3일 복용한다.

    - 강장보호(腔腸保護) :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환제 또는 산제로 만들어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 건선(乾癬/마른버짐) : 뿌리 10∼12g을 달여서 10회 이상 복용하면서 그 물을 환부에 바른다.

    - 난산(難産) :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2∼3회 복용한다.

    - 눈물이 많이 날 때 :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 대하증(帶下症) :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 몸이 차가울 때 :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1주일 정도 복용한다.

    - 보신(補身) :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 복통(腹痛) :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5일 정도 복용한다.

    - 부인병(婦人病) :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 부인붕루(婦人崩漏) :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 산통(疝痛) :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 월경이상(月經異常):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 음위증(陰?症) :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 음축(陰縮) :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5∼6회 복용한다.

    - 입냄새(口臭/구취) :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복용한다.

    - 자궁출혈(子宮出血) :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3∼4일 복용한다.

    - 자양(滋養) :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 전립선 비대(前立腺 肥大) :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

    - 정혈(精血) :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 졸도(卒倒) : 알뿌리 5∼6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3∼4일 복용한다.

    - 진경(鎭經) :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4∼5회 복용한다.

    - 진정(鎭靜) :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 진통(陣痛) : 뿌리 5∼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2∼3회 복용한다.

    - 치통(齒痛) :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4∼5회 복용한다.

    - 통경(通經) :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2∼3회 복용한다.

    - 편두통(偏頭痛) :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 풍(風) :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 행기(行氣) :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재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3∼4일 복용한다.

    - 행혈(行血) :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5일 정도 복용한다.

    - 현기증(眩氣症) :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3∼4일 복용한다.

    - 혈액순환(血液循環) :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1주일 정도 복용한다.

    - 혈폐(血閉) :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4∼5회 복용한다.

    - 협통(脇痛) : 뿌리 5∼7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환제 또는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이미지 출처 http://blog.daum.net/dlacn/6976888]


    <기타 민간 사용법>

    1. 옛날 우리 조상들은 창포나 천궁과 같은 식물의 줄기를 삶은 물이나 명태머리 삶은 물로 머리를 감았다. 창포나 천궁과 같은 자연의 세제는 세제의 가장 중요한 특성인 기름의 유화작용과 분산작용이 있어 훌륭한 세척효과, 머리에 윤기를 주는 영양효과, 은은한 향을 발산하는 향료효과, 발모 효과 및 피부미용효과는 물론 모발, 두피에 부작용이 없고 모발을 건강하게 할 수 있다고 한다. 이것은 비누로 머리를 감을 경우 머리카락이 뻣뻣하게 되어 빗질이 잘 안되는 문제를 해결해준다


    2. 당귀와 천궁은 천생 배필이다. 천궁이 당귀의 작용을 높여 주는 작용을 하는데, 당귀와 천궁만을 섞어서 조제하는 처방으로 '궁귀탕'이라는 것이 있다. 궁귀탕은 임산부의 생체 기능을 좋게 하고 출산 때 골반이나 자궁을 확장시켜 통증을 덜어주고 월경을 조절하며 원활한 혈액 순환을 돕고 혈허를 보충하는 작용을 한다. 이밖에 산후 어혈을 제거하고 젖 분비를 늘리는 작용도 빼놓을 수 없다. 산후에 천궁과 당귀를 20그램씩 섞은 뒤 달여 따뜻할 때 복용하면 젖이 잘 돌고 아기를 낳은뒤 허약해진 몸을 조리하는 데도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다. 또 혈압을 낮추고 혈류량을 증가시키는 작용을 하기 때문에 두통, 어지럼증, 고혈압, 협심증, 근육 마비, 류머티즘, 중풍 후유증, 신경통 , 수족 냉증 등에 좋은 약이 된다.


    3. 티눈이나 사마귀를 없애는 데는 천궁을 2,3mm 정도로 썰어서 환부에 붙여두면 말끔히 없어진다. 치질도 마찬가지로 치료할 수도 있다. 또, 구취 증상이 있을 때는 천궁을 잘게 썰어 입에 물고 있는 간단한 방법으로 냄새를 줄일 수 있다.


    <금기>

    - 음허로 인한 두통, 월경과다, 임신부에게는 쓰지 않는다.

     

     

                             

     

                             

     

                               [이미지 출처 http://blog.daum.net/hongjjaa/16154943]

    '산야초 > 산야초(초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짚신나물의 효능  (0) 2013.06.13
    지치(지초)의 효능  (0) 2013.06.13
    천마의 효능  (0) 2013.06.13
    쑥의 효능  (0) 2013.06.13
    제비꿀(하고초)의 효능  (0) 2013.06.13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