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등골나물(향등골나물)의 효능산야초/산야초(초본) 2013. 6. 14. 13:49
등골나물(향등골나물) 과명: 국화과(엉거시과) 학명: Eupatorium chinense for.tripartium HARA
등골나물
쌍떡잎식물 합판화군 초롱꽃목 국화과의 여러해살이풀. 분류 국화과 분포지역 한국, 중국, 일본, 필리핀 등지
서식장소 산, 들 .크기 높이 70cm 정도 산과 들의 초원에서 자란다.전체에 가는 털이 있고 원줄기에 자주빛이 도는 점이 있으며곧게 선다.
높이는 70cm 정도이다. 밑동에서 나온 잎은 작고 꽃이 필 때쯤이면 없어진다.
중앙부에 커다란 잎이 마주나고 짧은 잎자루가 있으며 달걀 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잎의 앞면은 녹색이고 뒷면에는 선점(腺點)이 있으며 양면에 털이 있다.[이미지 출처 http://blog.daum.net/ddr06700/5981412]
잎맥은 6~7쌍으로서 올라갈수록 길어지고 좁아진다.
꽃은 흰 자줏빛으로 두상꽃차례[頭狀花序]를 이루고 7∼10월에 핀다.
총포(總苞)는 원통형이고 선점과 털이 있으며, 갓털은 흰색이고 4mm 정도이다.
열매는 수과(瘦果)로 11월에 익는다. 어린순은 식용한다.
한방과 민간에서 황달, 통경, 중풍, 고혈압, 산후복통, 토혈, 폐렴 등에 약제로 스인다.
한국 ·중국 ·일본 ·필리핀 등지에 분포한다.[이미지 출처 http://blog.daum.net/ddr06700/5981412]
일명: 향수란, 산란, 난초, 난초화, 등골나물. 생약명: 난초, 택린
원산지: 한국, 만주, 일본, 중국. 이용부위: 전초
전초 말린 것을 난초(蘭草)라 하며, 항당뇨, 해열, 이뇨,월경조절, 습을 변화시키는 효능이 있고 당뇨병, 감기, 한열두통, 구갈, 수종, 백태, 월경불순을 다스린다고 한다.
한국,일본,중국 지역에 냇가 근처에 서식하고 자란다.
[등골나물]
여러해살이풀로서 높이 1~2m까지 자라는 곧은 줄기가 있는데 자주빛이 도는 점이 있고 가지에 구부러진 털이 있다. 대생하는 잎이 있고 아래의 긴 잎자루는 3갈래로 얇게 갈라지거나 결각이 혹은 결각모양의 톱니가 있으며 양끝은 날카롭다. 가을이 되면 줄기 꼭대기에 흰색 혹은 홍자색의 꽃이 원통형으로 산방화서를 이루며 피는데 향기가 난다. 어린순은 나물로 이용하고 풀 전체를 보온제로 사용하기도 하며 황달, 보익, 당뇨병, 중풍, 수종, 산후복통, 토혈, 치암, 폐염, 고혈압, 맹장염, 통경, 배종 등에 약재로 사용한다. 또한 당뇨병에는 전초를 말려 적당한 양을 물로 끓여서 그 즙을 차 대용으로 마시면 효과가 있다.
습기가 있는 산과 들, 냇가 등에서 흔히 볼 수 있다. 토심이 깊고 물빠짐이 잘되며 수분유지가 잘되는 양토, 사양토가 좋다. 자생하는 묘를 캐오거나 종묘상에서 구한다. 햇볕이 잘 들고 습기가 있는 곳에 5~6월경 묘를 심고 매년 6월경에 채종유 깻묵, 어분 등을 조금씩 준다. 8~9월경 꽃이 피는 시기에 땅위 부분 또는 땅속 줄기를 베는데 땅속 줄기는 가로로 길게 뻗어가므로 캘 때 줄기가 상하지 않도록 주의해 빨리 햇볕에 말린다. 곰팡이에 주의해 종이봉지 등에 넣어 보관한다. 유사종으로벌등골나물」의 꽃은 연한 홍자색으로 위의 잎은 갈라지지 않으며「골등골나물」은 향등골나물에 비해 잎이 좁고 길며 톱니는 다소 뭉뚝하다.
[등골나물의 효능]
한방에서는 뿌리째 캔 줄기를 칭간초 한고 한다. 피를 활성화 시키고,ㅏ 어혈과 한기와 통증을 없애며, 소변이 잘 나오게 하고 속에 잇는 발진을 드러나게 한다.
기침 감기나 폐렴, 생리불순, 출산 후 심한 복통, 타박상, 부스럼, 고혈압, 풍기 , 얼굴이 누렇게 떴을 때 탈황, 홍역을 앓는데 발진아 안 될 때, 허리가 아플 때 약으로 처방한다
민간에서는 홍역을 앓는데 발진이 안 될 때 류머티즘으로 허리 가 아플 때, 심한 기침 감기,폐렴이나 피를 토할 때 , 풍기 , 고혈압 , 출산 후 어혈이 안 나와 배가 아프거나 몸이 부었을 때 , 심한 생리통, 몸의 상처, 타박상, 부스럽에 사용한다.
어린 순은 식용한다.
정원이나 공원 등지에 심어 관상한다. 全草 또는 根을 秤杆草(칭간초)라 하며 약용한다.
①여름, 가을에 채취한다.
②성분 : 잎은 taraxasteryl palmitate, taraxasteryl acetate, taraxasterol을 함유한다.
③약효 : 發表(발표), 散寒(산한), 透疹(투진)의 효능이 있다. 脫肛(탈항), 發疹(발진)하지 않는 홍역, 류머티性의 腰痛(요통),감기로 인한 咳嗽(해수)를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10-15g을 달이던가 또는 가루를 만들어 散劑(산제)로 해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바른다.
한방과 민간에서 황달, 통경, 중풍, 고혈압, 산후복통, 토혈, 폐렴 등에 약제로 쓰인다.전초 말린 것을 산택란(山澤蘭), 패란(佩蘭)이라고 하며,해서(解暑),거습(祛濕),조경(調經)의 효능이 잇고,한열두통,완비불기(脘痺不飢),월경불순을 치료한다.
[이미지 출처 http://blog.daum.net/daehyo/7807444]
등골나물도 보통 등골나물, 골 등골나물, 벌 등골나물, 향 등골나물, 서양 등골나무 등 여러가지라고 합니다.
등골나물류
등골나물류는 국화과의 다년생 식물이다. 한국에는 3종의 등골나물속 식물들이 자란다.이중 등골나물이 가장 널리 퍼져 있으며, 골등골나물, 벌등골나물이 있다.등골나물류는 대부분 주로 아메리카 대륙 열대지방이 원산지이다.키는 0.6~1.8m 정도이고 거칠고 단단하며 털이 많은 다년생 식물이다.등골나물은 잎이 마주나는데 벌등골나물은 잎이 3갈래래로 갈라지는고 갈라진 잎의 크기가 비슷해 마치 한곳에서 여섯개의 잎이돌려난것처럼 보인다. 벌등골나물도 잎이 3가래로 갈라지지만 가운데것만 길고 양쪽 두개는 작다.특히 가지가 많이 갈라지는것이특징이다.[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cshwan99/YPvs/76?docid=1Fhw7|YPvs|76|20090717205658]
등골나물.
줄기는 높이가 70~90cm이고 온몸에 털이 있으며, 큰 잎이 마주난다.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흰색이나 자주색의 두상화가 산방(?房) 꽃차례로 피고 열매는 삭과(?果)를 맺는다.
골등골나물
줄기는 높이가 70cm 정도이며, 줄기 위쪽에 짧은 털이 많이 나 있다.
잎은 마주나고 버들잎 모양 또는 긴 타원형이다.
7~10월에 연한 자주색 또는 흰색의 작은 꽃이 취산(聚?) 꽃차례로 줄기 끝에 핀다.
벌등골나물
줄기는 높이가 1~1.5미터이며, 뿌리줄기가 옆으로 길게 자라고 굽은 잔털이 있으나 밑 부분에는 털이 없다.
잎은 마주나고 보통 세 개로 깊게 갈라진다.
8~9월에 연한 자주색 꽃이 원줄기 끝에 산방(?房) 꽃차례로 핀다. 냇가 근처에서 자란다.
[이미지 출처 http://blog.daum.net/daehyo/7807444]
<효능>
뿌리를 포함한 모든 부분을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약재로 쓴다.
감기, 기침, 홍역이 잘 퍼지지 않는 증세 신경통, 월경불순, 산후 출혈과 복통에 좋다
민간에서는 종기, 부스럼, 상처곪은 데 잎을 찧어 붙이곤 한다
<식용방법>
봄철에 자라는 어린 잎을 데쳐서 무쳐 먹는다 . 맛이 쓰고 매우므로 데친다음 잘 우려 내어서 간을 맏툰다
크게 자란 잎은 차로 우려 마시며 꿀을 조금 첨가하는 것이 좋음...
**
동물 실험에서 항암 활성이 인정되었다.당뇨병 치료에도 쓰임..
'산야초 > 산야초(초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쑥갓(들쑥갓)의 효능 (0) 2013.06.14 관중(관중고사리)의 효능 (0) 2013.06.14 절국대(음행초)의 효능 (0) 2013.06.14 항암 약초의 종류와 복용방법 (0) 2013.06.14 옥잠화의 효능 (0) 2013.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