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관중(관중고사리)의 효능
    산야초/산야초(초본) 2013. 6. 14. 13:52

     

    관중 (양치식물)  [shield fern]wood fern이라고도 함.  (Shield fern, 뜻: 유혹, 숨겨진 사랑)
    꼬리고사리과(―科 Aspleniaceae) 관중속(貫衆屬 Dryopteris)의 양치류.
    드리옵테리스 딜라타타 /드리옵테리스 딜라타타(Dryopteris dilatata)
     
    150여 종(種)이 전세계 곳곳에서 자라고 있다. 다른 분류 체계에서는 관중속을 면마과(Aspidiaceae)에 넣기도 한다. 삼림지에서 자라는 중간 정도 크기의 식물로 밝은 초록색을 띠는 잎은 여러 번 갈라져 깃털처럼 생겼으며 가죽질이다. 수많은 둥근 포자낭군이 잎 아래쪽의 잎맥을 따라 붙어 있으며 포막이 포자낭군을 덮어 보호하고 있다.
    우리나라에서 자라는 양치식물 중 가장 많은 종으로 이루어진 관중속에는 약 23종이 자라고 있다. 이중 관중(D. crassirhiozoma)을 가장 흔히 볼 수 있는데 여러 개체들이 원을 이루며 자라 꼭 소철처럼 보인다. 어린 잎을 먹기도 한다. 이밖에 족제비고사리(D. bissetiana)도 흔히 볼 수 있다.
     
    [이미지 출처 http://blog.daum.net/yangyiyeol/4652422/관중순]
     
    [관중의 효능]
    음지(蕨類)식물에 속하는 면마(緬馬;중국;鱗毛蕨)과 다년생 초본으로서 50-100cm자라고 포자로 번식한다.
    근경을 관중(貫衆;粗經鱗毛蕨;Dryopteris Crassirhizoma Nakai)이라 하여 약용하는데, 근경은 인편(鱗片)이 밀생하고 굵고 단단하다.
    관중(貫衆) 은 산지의 나무 그늘에서 무리 지어 자란다.
    뿌리줄기는 지름 8∼10mm의 굵은 덩어리 모양이고 비스듬히 서며 길이가 25cm 정도이고 잎이 돌려난다.
    잎자루는 길이가 10∼25cm이고 잎몸보다 훨씬 짧으며 비늘조각이 빽빽이 있다.
    비늘조각은 바소꼴이고 길이가 10∼25mm이며 광택이 있고 황색을 띤 갈색 또는 검은빛이 도는 갈색이며 끝이 뾰족하고
    가장자리에 긴 돌기가 있다. 잎몸은 거꾸로 선 바소꼴이고 2회 깃꼴로 깊게 갈라진다.잎조각은 20∼30쌍이고 줄 모양의 바소꼴이며
    자루가 없고 끝이 뾰족하며 양면에 곱슬털 같은 비늘조각이 있다.

     

    [이미지 출처 http://blog.daum.net/atget/12813130]

     


    잎몸 중간 부분에 있는 잎조각이 가장 크고, 밑 부분으로 갈수록 잎조각의 크기가 작고 달리는 간격이 넓다.
    잎조각의 갈라진 조각은 긴 타원 모양이고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에 둔한 톱니가 있고, 중앙맥에서 나온 잎맥은 보통 Y자 모양으로 갈라진다. 포자낭군은 잎몸 윗부분 잎조각의 중앙맥 가까이 2줄로 달리고, 포막은 둥근 신장 모양이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다 익으면 불규칙하게 갈라진다.
    어린잎을 식용한다.
    약초로는 뿌리줄기를 약재로 쓰는데, 기생충의 제거하고 해열·해독 작용이 있으며 지혈 효과도 있다.
    양방에서는 성분을 추출하여 면마정(綿馬精) 등의 약품을 만든다.
    한국·일본·사할린·쿠릴열도·중국 동북부 등지에 분포한다.
    우리나라 전국의 수림밑의 습윤지에서 자생한다.
     

    민간에서는 어린잎을 식용하고 가을, 겨울사이 채취하여 잔뿌리와 엽병을 재거하고 뿌리줄기를 관중(貫衆)이라하여 약용하는데 그 기미는 찬성질(寒)과 쓴맛(苦)이 있어 심경, 간경, 위경으로 들어가 구충,량혈,지혈,자궁수축의 효능이 있어 회충 및 조충구재, 토혈,코피, 붕루,대하,장염출혈,감기를 다스린다.
    처방으로 관중산(貫衆散), 쾌반산(快斑散), 경효산(經效散)이 있다.

    (약리),
    (1)구충작용,
    (2)자궁평활근에 작용,
    (3)항조잉수태(抗早孕受胎)작용,
    (4)항종류(腫瘤)작용,
    (5)항병원미생물작용.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기능),
    청열해독,량혈지혈,살충.

    (주치),
    풍열감기(사스),온열반진,토혈,객혈,비혈,변혈, 붕루,혈이,대하,기생충제거.

    (임상),
    (1),창진비홍(瘡疹肥紅) 치료.
    관중,적작약 각1냥,감초,川升麻,지실 각반냥을 세말하여
    매회1돈을 죽엽 7편 넣은 물 1잔으로 마신다(小兒衛生總微論方).

    (2),연구해수(年久咳嗽),출농혈(出膿血) 치료.
    관중,소목 각1냥을 세말하고(貫衆湯), 매회3돈을 생강3쪽 넣은 물 1잔으로 마신다(普濟方).

    (3),제반치질(諸般痔疾) 치료.
        관중,비해 등분을 세말하여 오동자대로 환을 만든다(腥金丸).
    식전 공복에 매회 40환을 먹는다(楊氏家方藏).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용량),
    내복; 탕 6-15g 혹 환,산. (해독,살충에는 生草를 복용, 지혈에는 炒炭을 복용).

    (주의),
    비위허한(脾胃虛寒),음허내열(陰虛內熱),임신부(姙娠婦)에게는 신중히 복용한다.
    [자료출처:http://cafe.daum.net/mannam0073/FVUY/1097]

     

    관중(희초미)

    고사리와 비슷하나, 양지가 아닌 응달에 나고, 우산처럼 활짝펴진 모양의 풀이 있는데 관중이다.

    잎이 펴진 모양이 고녁 한가운데 꽃힌 화살 같아서 관중이라 부른다.

     

    효능

    한방에서 뿌리줄기를 관중이라 한다. 열을내리고,독을 풀어주고,피를 맑게 하고, 피를 멎게도 하며, 균을 없애는 효능이 있다.

    열감기,발진이 돋을때, 피를 토할 때, 폐렴, 생리량이 많을때, 신경통,혈변,코피에 약으로 처방한다.

    양약에서는 촌충약 원료로도 사용한다.

     

    감기,폐렴,허리아플때 부리4g에 물 400ml를 붓고 달여 마신다

    생리양이 많을 때 ,자궁출혈,초피,혈변에는 검게 볶은 뿌리 4g을 가루를 내어 먹는다.

     

    봄에 어린순을 삶아서 물에 오래 담갔다 나물로 먹는다.담백하다.

     

    주의 하세요.

    약간 독성이 있는 약재로 많이 먹으면 심장과 위장에 무리가 올 수 있으므로 임산부,몸이 허약한 사람,몸이 마르고 열이 많은 사람,아이,위병이 있는 사람은 먹지 않는다.

    출혈에 쓸때는 검게 태워서 쓴다.

     

    [이미지 출처 http://blog.daum.net/yangyiyeol/4652422]

    관중은 산지의 그늘지고 습한곳에 많이나는 약초로 채취부위는 근경을 사용합니다.

    성질은 차고 맛은 씁니다. 살충, 구충, 소종 작용을 합니다.

    주의사항으로 구충제로 쓸 경우 복용량에 유의하여야 하며, 뿌리는 유독하므로 사용하지 않는다.

    관중의 어린싹

    관중의 어린싹2

     

    활짝 피어난 관중의 모습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