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땅비싸리의 효능산야초/산야초(초본) 2013. 6. 14. 12:40
땅비싸리(Indigofera kirilowii Maxim. ex Palib.): 장미목 콩과
이명:논싸리, 땅비수리, 완도당비사리, 젓밤나무, 큰땅비싸리
분류군:Leguminosae(콩과)
漢名: 朝鮮庭藤(이침 조, 고울 선, 뜰 정, 등나무 등)
잎은 호생하고 기수1회우상복엽이며 소엽은 7-11개이고 굵으며 원형, 도란형 또는 타원형이고 미철두이며 넓은 예저 또는 원저이고 길이 1-4cm로서 양면에 복면(腹面)으로 붙어 있는 복모가 있다.거치가 없다.협과는 길이 3.5-5.5㎝인 원주형이며 10월에 익는다.엽액에 총상화서가 달리며 길이 12㎝로서 잎과 거의 길이가 같고, 꽃은 5월부터 피기 시작하여 6월말까지 계속하여 피며 길이 2㎝정도로서 장미색이다. 꽃받침은 길이 3mm정도이며 피침상의 열편에 털이 약간 있고 기판의 겉에도 털이 있다.뿌리에서 많은 맹아가 나와 군생하는 것처럼 보이고 가지에 세로로 된 선상돌기가 있다. 소지에 줄이 약간 있으며 처음에는 잔털이 있으나 점차 없어진다.숲 가장자리, 길가 등에 군집을 이루고 양수로서 햇빛이 잘 드는 곳, 직사광선 하에서 잘 자란다. 토양은 특별히 가리지 않으나 배수성이 양호한 사질토양가 좋다.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lyh.l/3K7H/345?docid=1CjZ1|3K7H|345|20090519082509]
[이용방안]
▶건조하고 척박한 경사지나 절개사면으로 녹화용으로 매우 좋다. 도로 주변에 군식해도 좋다.
▶염료식물로 이용할 수 있다. - 전초를 채취하여 잘게 썰어 염액을 내었다. 염액의 색은 그다지 짙지 않았으나 잘 물드는 편이어서 반복염색하여 짙은색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얼룩이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주의해서 염색해야 한다.[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kllida/Kv7s/527?docid=swkv|Kv7s|527|20090620154034]
땅비싸리의 뿌리를 생약명으로 산두근(山豆根) 또는 고두근(苦豆根)) 이라 하여 이른봄이나 가을에 캐서 햇볕에 말려 약으로 사용한다. 성미는 차고 쓰며,독은 없다.
약효는 진통, 해독, 소종등에 효능이 있고, 기침, 구내염,잎몸이 붓고,고름이 나는데,각종종기, 개나 뱀에 물린상처에 쓴다고 한다..
폐암, 후두암등 종양의 억제를 위해 보조약으로도 쓴다고 한다..
말린 뿌리를 1회에 4~6g씩 200cc의 물에 달려 복용하거나, 곱게 가루로 빻아 복용한다.
외용에는 생뿌리를 찧어 붙이거나, 말린것을 가루내여 참기름에 개여서 환부에 바른다.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jssyakcho/72tq/198?docid=ugPI|72tq|198|20080708192429]
▶근(根)을 山頭根(산두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봄에서 가을에 채취하여 경엽(莖葉)과 鬚根(수근)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廣豆根(광두근)의 뿌리에는 alkaloid로서 matrine, oxymatrine, anagyrine, N-methylcytisine, 각종 flavon 誘導體(유도체)로서는 sophoranone, sophoradin, sophoradochromene, genistein, pterocarpine, maackiain, trifolirhizin, sitosterol, lupeol, 일군(一群)의 caffeic산(酸), docosanol ester를 주로 하는 고급 alcohol ester 등이 함유되어 있다.
③약효 : 화(火)를 다스리고 해독, 消腫(소종),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喉癰(후옹), 喉風(후풍), 치경(齒莖)의 腫痛(종통), 喘滿熱咳(천만열해), 황달, 下痢(하리), 치질, 熱腫(열종), 禿瘡(독창), 疥癬(개선), 蛇蟲咬傷(사충교상), 犬咬傷(견교상)을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9-15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煎液(전액)으로 양치질하거나 짓찧어서 붙인다.[유사종]
▶큰땅비싸리(var. coreana Craib.): 화서가 잎보다 두 배 정도 길고 꽃받침의 길이가 4mm 정도이며 열편이 좁다.
▶민땅비싸리(I. koreana Ohwi): 잎 뒷면에 털이 전혀 없다.-자료:국가생물둔지식정보시스템-
[땅비싸리의 효능]
산기슭에서 흔히 자란다. 높이는 1m 정도이고 뿌리에서 많은 싹이 나온다. 여러 개의 줄기가 올라오며 가지에 세로로 된 줄 모양의 돌기가 있다. 잎은 어긋나고 홀수 1회 깃꼴겹잎이다. 작은잎은 7∼11개로 두껍고 원형 ·타원형 또는 거꾸로 선 달걀 모양이며 양면에 털이 있다. 길이 2cm 정도의 적자색 꽃이 5∼6월에 피고, 잎 겨드랑이에서 총상꽃차례[總狀花序]를 이룬다.
꽃받침은 길이 3mm 정도이며 기판(旗瓣)의 겉에 털이 있다. 열매는 협과(莢果)로 줄 모양이고 10월에 익는다. 중국 만주 등지와 함경북도을 제외한 전국 각지에 분포한다. 농가의 양봉용, 사료용으로도 쓰인다.
유사종으로 꽃이삭이 잎보다 2배 정도 긴 것을 큰땅비싸리(var. coreana), 잎 뒷면에 털이 없는 것을 민땅비싸리(I. coreana)라고 한다.
유사종
큰땅비싸리(var. coreana Craib.) : 화서가 잎보다 두 배 정도 길고 꽃받침의 길이가 4mm 정도이며 열편이 좁다.
민땅비싸리(I. koreana Ohwi) : 잎 뒷면에 털이 전혀 없다.
건조하고 척박한 경사지나 절개사면으로 녹화용으로 매우 좋다. 도로 주변에 군식해도 좋다.
염료식물로 이용할 수 있다. 전초를 채취하여 잘게 썰어 염액을 내었다. 염액의 색은 그다지 짙지 않았으나 잘 물드는 편이어서 반복 염색하여 짙은 색을 얻을 수 있다. 하지만 얼룩이지는 경향이 있으므로 주의해서 염색해야 한다.
땅비싸리는 생약명으로 산두근(山豆根)이라 하며 다른 이명은 황결(黃結), 고두근(苦豆根)이라고 한다.
전국에 분포하며 산기슭이나 산중턱의 양지에서 자생을 한다. 약효는 뿌리에 있고 가을에서 이듬해 봄까지 채취하여 경엽(莖葉)과 鬚根(수근)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성미는 차며, 쓰다. 독성은 없다. 농가의 양봉용, 사료용으로도 쓰인다.
근(根)을 山頭根(산두근)이라 하며 약용한다.
봄에서 가을에 채취하여 경엽(莖葉)과 鬚根(수근)을 제거하고 햇볕에 말린다.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boeungam/7Xp0/160?docid=1Coxt|7Xp0|160|20090610230607]
성분 : 廣豆根(광두근)의 뿌리에는 alkaloid로서 matrine, oxymatrine, anagyrine, N-methylcytisine, 각종 flavon 誘導體(유도체)로서는 sophoranone, sophoradin, sophoradochromene, genistein, pterocarpine, maackiain, trifolirhizin, sitosterol, lupeol, 일군(一群)의 caffeic산(酸), docosanol ester를 주로 하는 고급 alcohol ester 등이 함유되어 있다.
약효 : 화(火)를 다스리고 해독, 消腫(소종), 止痛(지통)의 효능이 있다. 喉癰(후옹), 喉風(후풍), 치경(齒莖)의 腫痛(종통), 喘滿熱咳(천만열해), 황달, 下痢(하리), 치질, 熱腫(열종), 禿瘡(독창), 疥癬(개선), 蛇蟲咬傷(사충교상), 犬咬傷(견교상)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9-15g을 달여서 복용하거나 즙을 내어 복용한다.
외용 :煎液(전액)으로 양치질하거나 짓찧어서 붙인다.
성홍열 :산두근 100g, 들국화 200g을 물로 달여서 3살 이하는 하루 세 번으로 나누어 먹인다.
구내염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대하증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3~4일 복용한다.(적/백 대하).
사독(蛇毒)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3~4회 복용하면서 그 물로 환부를 자주 씻어낸다.
치은염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이거나 산제로 하여 1일 2~3회씩 4~5일 복용한다.
치질 :뿌리 8~10g을 1회분 기준으로 달여서 1일 2~3회씩 1주일 이상 복용한다.
폐렴 :말린 약재를 1회에 4~6g씩 200㎖의 물에 달여서 마시거나 또는 곱게 가루로 빻아서 복용한다.
[자료출처:http://cafe.daum.net/rkdwnscl/MpA3/86]
'산야초 > 산야초(초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금난초의 효능 (0) 2013.06.14 금난초(가지조개나물,금창초)의 효능 (0) 2013.06.14 광대싸리(고리비아리,구럭싸리,일엽추,광대순)의 효능 (0) 2013.06.14 개구리자리(구룡초)의 효능 (0) 2013.06.14 자주쓴풀(어담초,장아채,당약)의 효능 (0) 2013.06.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