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딱지꽃(위릉채)의 효능
    산야초/산야초(초본) 2013. 6. 14. 10:24

     

    딱지꽃 (식물)  [Potentilla chinensis]: 장미과(薔薇科 Ros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딱지꽃 /딱지꽃(Potentilla chienesis)
    굵은 뿌리에서 여러 개의 줄기가 모여나고 60㎝ 가량 자란다. 뿌리에서 바로 나오는 잎은 땅 위에 퍼져 자라며, 줄기에서 나오는 잎은 어긋난다. 잎은 날개깃처럼 갈라졌는데 15~30갈래로 나누어졌으며, 잎 뒷면에는 흰 털들이 빽빽하게 나 있어 하얗게 보인다. 꽃은 노란색이며 6~7월에 줄기 끝에서 취산(聚?)꽃차례로 핀다. 꽃잎은 5장이고 수술은 많다. 열매는 수과(瘦果)로 맺힌다. 중국에서는 위릉채(萎陵菜)라고 하며, 식물 전체를 말려 해열이나 지혈에 쓴다. 봄에 어린 잎을 따서 나물로 먹거나 뿌리를 날것으로 먹기도 한다.
     
     

    원산딱지꽃[이명:넓은딱지, 넓은잎딱지, 넓은잎딱지꽃]

    학명:Potentilla nipponica Th.Wolf

    분류군:Rosaceae(장미과)

    소엽은 7-13개이고 우상으로 중앙까지 갈라지며 도피침형 또는 타원형으로서 엽병이 없고 열편 끝이 둔하며 가장자리가 밋밋하고 뒤로 말리듯이 도드라지며 뒷면은 백색 면모가 있어 은백색이 돌고 소엽 사이에 소열편이 없으며 탁엽은 타원형으로서 톱니가 약간 있다.꽃은 7-8월에 피고 지름 13mm로서 황색이며 화경(花莖) 끝의 산방상 취산화서에 달린다. 꽃받침잎은 난상 피침형이고 길이 6mm이며 부악편은 꽃받침과 비슷하고 꽃받침과 더불어 겉에 면모가 있다.

    함경남도 원산, 평안북도 강계, 강원도 강릉에서 자란다.바닷가나 냇가 양지 모래땅에서 자란다.

    딱지꽃과 비슷하지만 소엽이 7-13개인 것이 다른다.

     

    털딱지꽃[이명:털딱지]학명:Potentilla chinensis var. concolor Franch. & Sav.

    분류군:Rosaceae(장미과)

    잎은 우상복엽이며 근생엽이 옆으로 퍼지고 경생엽은 호생하며 소엽은 15-29개로서 밑부분의 것은 점차 작아지고 윗부분의 것은 도피침형 또는 긴 타원형이며 길이 2-5cm, 폭 8-15mm로서 표면에 털이 많다. 뒷면도 백색 면모가 밀생하고 특히 맥 위에 긴 견모가 있으며 거의 중륵까지 갈라지고 탁엽은 넓은 타원형이며 우상으로 갈라진다.꽃은 6-7월에 피고 지름 1-2cm로서 황색이며 가지 끝에서 산방상 취산화서를 형성한다. 꽃받침잎은 좁은 난형이고 예두이며 부악편은 피침형이고 꽃잎은 도란상 요두(凹頭)로서 각각 5개이며 탁엽에 털이 있다. 높이 30-60cm이고 총생하며 비스듬히 서고 털이 밀생한다. 뿌리는 비대하다.바닷가에서 자란다.

    ▶어린 순을 나물로 한다.
    ▶딱지꽃, 털딱지꽃의 根(근) 및 全草(전초)를 萎陵菜(위릉채)라 하며 약용한다.
    ① 4-10월에 뿌리가 달린 전초를 채취하여 花枝(화지)와 果枝(과지)를 제거하여 말리거나 지상부의 莖葉(경엽)을 모두 제거하고 뿌리만 쓴다.
    ②성분 : 신선한 것에는 수분 62.39%, 비타민C 49.4mg%가 함유되어 있고 건조품에는 수분 12.12%, 단백질 9.18%, 지방 4.03%, 組纖維(조섬유) 21.89%, 무기성분 7.25% 등이 함유되어 있다. 根(근)에는 tannin質(질)이 많다.
    ③약효 : 祛風濕(거풍습), 해독의 효능이 있다. 이질, 류머티성 筋骨疼痛(근골동통), 사지마비, 癲癎(전간), 瘡疥(창개-피부병)를 치료한다.
    ④용법/용량 : 15-30g을 달여 복용하거나 또는 散劑(산제), 술에 담가 복용한다. <외용> 煎液(전액)으로 씻거나 粉末(분말)로 살포하거나 조합하여 塗布(도포)한다.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lifeagain/PQW/441?docid=Dtti|PQW|441|20070520060413

     

     

    약재에 대하여

    딱지꽃은 아이들이 놀이할 때 쓰는 딱지처럼 땅바닥에 납작하게 퍼져서 자라는 풀이다. 잎은 톱날을 닮았고 뒷면에 흰 털이 빽빽하게 나 있으며 줄기는 보랏빛이다.
    6~7월에 꽃잎이 다섯 개인 황금빛 꽃이 귀엽게 핀다. 우리나라 각지의 들이나 바닷가 풀밭에 흔히 자란다.

     

    약성 및 활용법

    딱지꽃 뿌리는 봄이나 가을철에 뿌리째 캐서 그늘에 말려 약으로 쓴다. 맛은 약간 쓰고, 성질은 평하므로 아무 체질이나 상관없이 쓸 수 있다. 풍습을 없애고 열을 내리며 독을 푸는 작용이 있다. 또 설사를 멎게 하고 피 나는 것을 멈추며 티푸스균, 적리균, 포도알균 등 온갖 균을 죽인다. 갖가지 염증을 치료하고 모세혈관을 튼튼하게 하며 혈액순환을 좋게 하는 작용도 있다.
    진통작용, 진정작용도 있으므로 류머티스 관절염, 통풍, 신경통에도 효과가 있고, 위염, 장염, 기관지 천식, 기침, 당뇨병에도 좋은 효과가 있다.
    한국을 비롯 중국, 일본에서 구황식물로 먹었다는 기록이 있고 우리나라에서는 지혈약으로, 일본에서는 해열제로 민간에서 썼다는 기록이 있다. 한방에서는 딱지꽃을 약으로 쓴 일은 거의 없었던 것 같다.

    딱지꽃은 영양이 풍부하므로 채소 대신 나물로도 더러 먹는다. 어린 잎을 살짝 데쳐서 간을 맞추어 먹으면 쓴 맛이 없고 담백하여 누구라도 즐길 만하다. 어린 잎을 날로 먹어도 괜찮고 마요네즈와 버무려 먹어도 맛이 좋으며 밀가루 옷을 입혀 기름에 튀겨 먹어도 그만이다. 말려서 차로 마셔도 그런 대로 괜찮다.
    뿌리째 뽑아서 반찬으로 만들어 늘 먹으면 몸이 튼튼해지고 힘이 나고 밥맛이 좋아지고 위장이 튼튼해진다.

     

    이미지 출처 http://blog.daum.net/y1008/5124754

     

    증상별 적용 및 복용법

    ▶ 딱지꽃 뿌리는 지혈제로 매우 훌륭하다. 자궁출혈, 장출혈, 치질출혈, 코피, 각혈, 피오줌을 누는 데, 암으로 인한 출혈, 대변 볼 때 피 나는 것 등 온갖 출혈에 딱지꽃 뿌리를 쓰면 다른 어떤 약보다 좋은 효과를 볼 수가 있다. 온갖 종류의 출혈에는 딱지꽃 뿌리 40g을 진하게 달여서 차 대신 하루 4~5번 마신다.

    ▶ 딱지꽃과 닮은 것으로 양지꽃이 있다. 이른 봄철 양지 쪽에서 자라 노랗게 꽃을 피운다 하여 양지꽃이라는 이름이 붙었다. 양지바른 풀밭이나 물가에서 흔히 자라며 잎 모양은 딸기 잎을 닮았다. 양지꽃도 딱지꽃과 마찬가지로 지혈작용이 상당히 강하다. 민간에서 상처의 피를 멎게 하는 데, 설사. 이질에 쓰고 열을 내리는 약으로도 쓴다. 여자들이 생리가 고르지 못하고 뱃속이 냉할 때 양지꽃을 뿌리째 캐서 오래 달여 먹으면 차츰 낫는다. 또 젖이 잘 안 나올 때 달여 먹으면 곧 젖이 잘 나오게 된다.

    ▶ 몸이 허약할 때에 양지꽃을 오래 먹으면 좋다. 여름철에 뿌리를 캐서 그늘에서 말려 두고 수시로 차로 끓여 마시거나, 말린 것을 가루 내어 찹쌀풀이나 꿀로 알약을 지어 두고 수시로 복용한다. 또 딱지꽃 뿌리를 오래 달여 먹으면 몸이 튼튼해지고 눈이 밝아진다.

    ▶ 어느 노인이 간경화라는 병원의 진단을 받고 산과 들을 다니면서 딱지꽃, 양지꽃 등을 열심히 캐서 달여 먹고 간경화를 고쳤다는 일화가 있다. 딱지?과 양지꽃은 간장의 기능을 강화하는 데도 좋은 효과가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내용출처 : http://www.nanum.pe.kr/nh4fr/fr&cover.htm ]

    이미지 출처 http://blog.daum.net/ddr06700/6885152

    '산야초 > 산야초(초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뱀딸기의 효능  (0) 2013.06.14
    번행초(갯상추)의 효능  (0) 2013.06.14
    백년초(손바닥선인장)의 효능  (0) 2013.06.14
    갈대의 효능  (0) 2013.06.14
    강아지풀의 효능  (0) 2013.06.14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