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황금(골무꽃)의 효능
    산야초/산야초(초본) 2013. 6. 14. 10:07

     

    황금 (식물)  [Scutellaria baicalensis]:꿀풀과(―科 Lami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Baikal Skullcap, 뜻: 고귀함)
     
    전국 각지의 산 기슭에서 자라며 약초로도 재배하고 있다. 키는 약 60㎝이고 여러 개의 네모진 줄기가 뿌리에서 나온다. 피침형의 잎은 마주나고 가장자리는 밋밋하다. 입술 모양의 자주색 꽃은 7~8월경 줄기 끝에서 총상(總狀)꽃차례를 이루며 핀다. 열매는 꽃받침 안에 있으며 둥글다. 중국 북부지방이 원산지이다. 한국에는 골무꽃속(―屬Scutellaria)의 골무꽃(S. indica)·그늘골무꽃(S. fauriei)을 비롯해 10여 종(種)이 자생한다. 이 풀의 뿌리를 한방에서 사용하기 위해 무분별하게 남획하고 있어 보호가 요구되는 식물이다. 씨로 번식한다. 식용·공업용·밀원용·관상용 등에 쓰이며 청열습조(淸熱濕燥)·사화해독·안태·위염·장염·진해 등에 사용하고 소염제·충혈제·해열제·건위제로 쓴다.
     
     
    골무꽃 [Scutellaria indica]:꿀풀과(―科 Lami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네모난 줄기에 털이 많이 나 있다. 잎은 마주나고 잎끝은 뾰족하나 잎밑은 심장처럼 움푹 패었다. 잎가장자리에는 둔한 톱니가 있다. 5~6월에 보라색 꽃이 줄기 끝에서 한쪽 방향으로 치우쳐서 2줄로 나란히 핀다. 또한 이 꽃은 통꽃으로 꽃부리만 위아래 2갈래로 나누어졌는데 아래쪽이 더 넓고 앞으로 쑥 나와 있으며 진한 자주색 점들이 있다. 뜰에 심을 만한 풀로서 해가 잘 비치며 물이 잘 빠지는 곳에서 자라며 마른땅에서도 비교적 잘 자란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Hanabusayaasiatica/ZOp/59?docid=1ElNS|ZOp|59|20080730151257

     

    [황금의 효능][자료출처:http://cafe.daum.net/hshtop/YIZV/53]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은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다른 이름으로는 자금, 조금, 고금, 편금, 원금, 경금, 황문 등으로 불리우며 북부지방의 척박한 산에서 자라고 이른 봄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동시베리아 원산으로 중국동방, 우리나라 각지에 자생 또는 재배하는 다년생 초본이다.

     

    황금은 겉표면을 벗겨내면 노란색이 황금과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으로 국산은 겉껍질을 제거하면 밝은 노란색을 띄고 있으며 절단면은 조직이 치밀하고 단단한 편이다. 뿌리를 황금이라 하여 약용하며 봄~여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쓴다. 고의서에 의하면 오래되어 속이 썩은 것을 고금, 편금이라 하고 속이 썩지 않은 것을 자금, 조금이라 하며 굵고 속이 썩지 않은 것이 최상품이다. 재배 3~4년근이 좋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황금의 성미는 차갑고 쓰며 독이 없으며 해열, 이뇨, 지사, 이담 및 소염제로 이용하며 쓴맛은 심장과 폐에 들어가 장위(腸胃)를 튼튼히 하고, 차가움(寒)은 간장(肝臟)과 폐(肺)에 들어가 습열(濕熱)을 없앤다. 또한, 술에 불려서 쓸 때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가장 많이 함유된다고 한다. 술에 적셔서 볶아 쓰기도 한다.

     

    효능으로는 지혈, 안태의 효능이 있고 번갈, 폐열해수, 황달, 자궁출혈, 목적종통, 태동불안을 치료한다. 불면증, 위장염, 대 소장염, 간염, 방광염, 요도염, 천식 등에 쓴다. 또한 폐 속에 화(火)를 사(瀉)할 수 있고 담을 삭게 하고 기가 잘 돌게 한다. 해열, 이뇨(오줌을 잘 나오게 함), 지사(설사를 멎게 하는 것), 이담(담즙의 분비와 배설을 활발하게 하는 것), 소염제(염증을 치료하고 방지하는 것), 열독(熱毒), 골증(骨蒸 : 폐, 신장이 나빠져서 일어나는 한의학상의 병명,  음기(陰氣)와 혈기(血氣)가 부족하여 골수가 메말라서 뼈 속이 후끈후끈 달아오르고 몹시 쑤시는 증상. 기침과 미열이 나고 식은땀이 많이 나며 마른다. 결핵 등 만성 소모성 질환에 나타난다). 추웠다 열이 났다 하는 것을 치료하고, 열로 나는 갈증을 멎게 하고, 황달, 이질, 설사, 담열(痰熱), 위열(胃熱)을 낫게 한다. 소장을 잘 통하게 하고 유옹(유방염으로 젖이 곪는 종기), 등창, 악창과 돌림열병을 낫게 한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약효로 한방에서 뿌리를 항고혈압, 이뇨, 지혈작용이 있는 소염하혈약으로서 많은 한방처방에 사용된다.

     

    복통에는 황금, 백작약(白芍藥) 각각 8g, 감초 4g을 물에 달여 하루 3번에 나누어 먹는데, 속썩은풀은 적리균, 대장균에 대한 억누름 작용이 있고, 백작약과 감초는 위경련으로 오는 복통을 멈추게 한다.

     

    입 안이 붓고 헌 데, 궤양이 생긴 데에는 황금, 황련(黃連), 황백(黃柏)을 가루 낸 것 각각 2g을 컵에 넣고, 끓인 물을 부어 노랗게 우려 낸 물로 하루 10번 정도 입가심을 하면, 균 억제작용과 염증을 가라 앉히는 작용을 하므로 잘 낫는다.

     

    폐암, 난소암, 자궁암 등에는 속썩은풀 60g, 까마중(용규) 30g, 지치(紫芝) 15g을 달여서 먹으면 좋다.

     

    해열, 소염, 건위, 진해, 안태(安胎: 태아를 편안하게 함)에는 황금 뿌리 3~6g에 물 700ml를 붓고 2시간 달여서 식후 1시간에 마신다.

     

    이미지 출처 http://blog.daum.net/j2101j/461

     

     

    황금은 쓴맛이 강하고 약성이 차서 고열로 인한 번조(煩燥: 마음이 답답하고 체온이 높은 증세), 불안, 혈압상승, 구갈, 변비를 치료하고, 급성 간염으로 열이 심하고 전신에 황달이 지며, 간 기능이 저하되고 소변을 못 보는 증상에 치료반응을 보이며, 위염으로 발열증상이 있고 입 안이 쓰며, 소화장애를 일으키고 헛배가 부른 증상에 위액분비를 조절하여 치료하고, 월경이 중단된 것과 이슬이 조금씩 나오면서 하혈하는 것을 치료한다.

     

    우황청심환은 우황, 황금, 치자, 주사, 용뇌 등 5가지로 만든 것과, 우황, 황련, 황금, 치자, 울금, 주사, 감초등 7가지로 만든 것 등, 약조성이 다르게 만든 것이 무려 30여 가지나 되기 때문에, 우황청심환을 쓰려고 할 때에는 그 조성과 적응증을 보고 병에 맞게 써야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다.

     

    황금주 만드는 법

    * 재료 : 황금 뿌리 200g  소주1.8L

    * 담그는 법 : - 봄, 가을에 황금 뿌리를 채취하여 깨끗이 씻고 3~4일간 건조 시킨다.

                        - 용기에 재료를 넣고 소주를 부어 밀봉한 후 6개월정도 숙성 시킨다.

    * 복용방법 : 필요에 따라 적당량을 복용한다.

    * 효능 : 해열, 이뇨, 지사, 이담, 지혈, 자궁출혈, 안태(安胎) 등에 효과가 있다.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123apt/56T5/121?docid=1Atny|56T5|121|20090610225604

     

     

     

    황금(속썩은풀)의 효능[자료출처:http://cafe.daum.net/vandalism/EiI7/1880]

     

    황금(Scutellaria baicalensis)은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다른 이름으로는 자금, 조금,고금, 편금, 원금, 경금, 황문 등으로 불리우며 북부지방의 척박한 산에서 자라고 이른 봄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다.

    뿌리를 황금이라 하여 약용하며 봄~ 여름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서 쓴다.
    고의서에 의하면 오래되어 속이 썩은 것을 고금, 편금이라 하고 속이 썩지 않은 것을 자금, 조금이라 하며 굵고 속이 썩지 않은 것이 최상품이다.

    또한 술에 불려서 쓸 때 플라보노이드 성분이 가장 많이 함유된다고 한다.
    술에 적셔서 볶아 쓰기도 한다.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tksdichdugod/C6cz/204?docid=16FLZ|C6cz|204|20080816165853

    황금의 성미는 차갑고 쓰며 독이 없으며 해열, 이뇨, 지사, 이담 및 소염제로 이용하며 쓴맛은 심장과 폐에 들어가 장위(腸胃)를 튼튼히 하고, 차가움(寒)은 간장(肝臟)과 폐(肺)에 들어가 습열(濕熱)을 없앤다.

    효능으로는 지혈, 안태의 효능이 있고 번갈, 폐열해수, 황달, 자궁출혈, 목적종통, 태동불안을 치료한다. 불면증, 위장염, 대 소장염, 간염, 방광염, 요도염, 천식 등에 쓴다.

    복통에는
    황금, 백작약(白芍藥) 각각 8g, 감초 4g을 물에 달여 하루 3번에 나누어 먹는데, 속썩은풀은 적리균, 대장균에 대한 억누름 작용이 있고, 백작약과 감초는 위경련으로 오는 복통을 멈추게 한다.

    입 안이 붓고 헌 데, 궤양이 생긴 데에는 황금, 황련(黃連), 황백(黃柏)을 가루 낸 것 각각 2g을 컵에 넣고,끓인 물을 부어 노랗게 우려 낸 물로 하루 10번 정도 입가심을 하면,균 억제작용과 염증을 가라 앉히는 작용을 하므로 잘 낫는다.

    폐암, 난소암, 자궁암 등에는 속썩은풀 60g, 까마중(용규) 30g, 지치(紫芝) 15g을 달여서 먹으면 좋다.

    해열, 소염, 건위, 진해, 안태(安胎: 태아를 편안하게 함)에는 황금 뿌리 3~6g에 물 700ml를 붓고 2시간 달여서 식후 1시간에 마신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황금은 쓴맛이 강하고 약성이 차서 고열로 인한 번조(煩燥: 마음이 답답하고  체온이 높은 증세), 불안, 혈압상승, 구갈, 변비를 치료하고, 급성 간염으로 열이 심하고 전신에 황달이 지며, 간 기능이 저하되고  소변을 못 보는 증상에 치료반응을 보이며,

    위염으로 발열증상이 있고 입 안이 쓰며, 소화장애를 일으키고  헛배가 부른 증상에 위액분비를 조절하여 치료하고,
    월경이 중단된 것과 이슬이 조금씩 나오면서 하혈하는 것을 치료한다.


    우황청심환은 우황, 황금, 치자, 주사, 용뇌 등 5가지로 만든 것과, 우황, 황련, 황금, 치자, 울금, 주사, 감초등 7가지로 만든 것 등,
    약조성이 다르게 만든 것이 무려 30여 가지나 되기 때문에, 우황청심환을 쓰려고 할 때에는 그 조성과 적응증을 보고 병에 맞게 써야 치료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