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봄나물 - 고들빼기, 씀바퀴산야초/들나물 2013. 4. 5. 17:26
1. 고들빼기 (Youngia sonchifolia Max)
길가 풀밭에서 80cm쯤 자라는 국화과의 이년초. 깊고 불규칙한 톱니 모양으로 갈라진 잎과 줄기는 자르면 흰 유액이 나옴.5-9월에 노랑 또는 흰색의 꽃이 핌. 4월경의 어린 잎으로 나물을 하기도 하고 고들빼기 김치를 담그기도 함
[왕꼬들빼기]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beakwun8848/72tQ/1048?docid=11paN|72tQ|1048|20081007091018]
* 꽃(흰꽃,노랑꽃)과 모양은 씀바귀와 비슷하난 잎이 줄기를 감싸는 모양이 다름.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wildflowerland/2lBz/8828?docid=6IVj|2lBz|8828|20090523181707]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sajutopia/7T9x/71?docid=sGtR|7T9x|71|20050805215252]
2. 씀바귀 [Ixeris dentata]:국화과(菊花科 Ast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초.
키는 30㎝ 정도이며 줄기는 가늘다. 뿌리에서 나오는 잎은 로제트처럼 달리며, 로제트 잎 사이에서 줄기가 나와 2~3장의 잎이 달린다. 잎가장자리의 아래쪽에만 톱니들이 약간 있으며, 잎의 기부는 줄기를 감싼다. 노란색의 꽃은 5~7월경 가지 끝에 하나씩 달리는 두상(頭狀)꽃차례로 무리져 핀다. 두상꽃차례는 7~8송이의 설상화(舌狀花)로만 되어 있다. 열매에는 길이가 4~5㎜쯤 되는 연한 노란색의 갓털[冠毛]이 있다. 이른봄에 뿌리와 어린순을 나물로 먹는데, 잎의 상처에서 분비되는 흰 수액은 쓴맛을 내지만 기름에 무치거나 초간장에 무쳐 먹으면 오히려 입맛을 돋운다. 식물의 뿌리는 위장약이나 진정제로 이용하기도 한다.[씀바귀의 효능]
항암, 항스트레스, 항알레르기, 노화방지에 효험
씀바귀는 국화과의 다년생의 풀인 씀바귀(Ixeris dentata 'Thunb.' Nakai) 좀씀바귀(Ixeris stolonifera A. Gray)
왕씀배(Prenanthes tanakae 'Franch. et Savat.' Koidz)의 전초입니다. 생약명으로 흔히 고채(苦菜)라고 합니다. 왕씀배속은 유럽, 아시아, 북아메리카에 약 40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2종인 왕씀배, 개씀배가 있고 씀바귀속에는 동부 아시아에 약 20종, 우리나라에는 약 7종이 분포되어 있으며 종류로는 선씀바귀, 벋음씀바귀, 씀바귀, 흰씀바귀, 꽃씀바귀, 벌씀바귀, 갯씀바귀, 좀씀바귀, 냇씀바귀 등이 있습니다.
시골 들판 논두렁 어디에든 흔하게 널리 자생하고 있습니다.
씀바귀의 다른 이름은 민간에서 고돌배기 쓴귀물, 싸랑부리, 쓴나물, 싸랭이, 사태월싹(충남 방언: 벋은 씀바귀가 논두렁 이나 비탈진 곳에 뿌리가 뻗어나가면서 사태가 나는 것을 방지한다는 뜻에서 유래하였다고 함) 라고도 부릅니다.
씀바귀의 고의서 이름은 고채, 산고매, 소고거, 소고매, 소고맥채, 은혈단, 칠탁련, 활혈초, 황과채, 황서초 등으로 불립니다. 줄기에서 자라나는 잎과 뿌리에서 자라나는 잎이 있습니다. 잎이나 줄기를 잘라보면 쓴맛이 강한 흰 즙이 흐릅니다. 꽃의 지름은 1.5센티미터 안팎이고 노란색의 꽃이 핍니다.
[이미지 출처 http://blog.daum.net/inkb07/18347391]
시골 농촌에서는 봄철에 미각을 돋우고 입맛을 되살아나게 하는 풀로 씀바귀를 봄나물로 먹습니다. 너무써서 끓는 물에 약간 데쳐서 찬물에 오랫동안 우려내어 먹는데, 쓴맛을 즐기는 사람은 그대로 먹을 수 있습니다. 한 겨울철에도 잎이 죽지 않고 누렇게 땅에 붙어 있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양지 바른쪽에는 한 겨울에도 나물로 캐어서 먹을 수 있습니다. 잎과 뿌리 모두 나물로 먹을 수 있습니다.
씀바귀는 맛은 쓰고 성질은 찹니다. 설사를 멎게 하고 부기를 가라앉히는 효능이 있습니다. 또한 뱀에 물린 상처나 요로 결석을 치료합니다. 약효로는 해열, 해독, 건위, 조혈, 소종등의 효능이 있으며 허파의 열기를 식혀 준다. 또한 괴사한 살을 배출시키고 새살을 나오게 합니다. 주로 강장, 강정, 건위, 식욕부진, 이질, 간경화, 유방염, 구내염, 항종양, 항암,오심, 오장보익, 위염, 진정, 진통, 불면증, 축녹증, 소화불량, 폐렴, 간염, 고혈압, 지혈, 혈액순환촉진, 음낭습진, 타박상, 외이염, 종기 등에 사용합니다. 말린 약재를 5그램 정도를 달여서 복용합니다. 타박상이나 골절, 종기에는 생풀을 짓찧어 환부에 붙입니다. 음낭습진은 달인 물로 환부를 닦아낸다. 씀바귀를 하루 8~12그램을 물로 달여서 복용합니다.
'산야초 > 들나물' 카테고리의 다른 글
봄나물 - 달래 (0) 2013.04.06 봄나물 - 민들레 (0) 2013.04.05 봄나물 - 지칭개나물 (0) 2013.04.05 봄나물 - 아주까리 (0) 2013.04.05 봄나물 - 돌나물(돈나물) (0) 2013.04.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