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붉은꾀꼬리버섯 ( 학명 : Cantharellus cinnabarinus Schw)
    산야초/식용버섯 2013. 4. 1. 23:11

    붉은꾀꼬리버섯
    Cantharellus cinnabarinus Schw.
    꾀꼬리버섯과
    한국
    반구형-깔대기형
    변산반도국립공원, 월출산, 만덕산, 지리산
    여름-가을
    혼합림 내 땅 위
    주홍색
    식용

     

     

    갓은 지름 1-4cm로 둥근 산 모양 또는 가운데가 오목한 형을 거쳐 깔대기 모양으로 되며 때로는 부정형이 되기도 한다.
    갓 표면은 평활하고 처음에는 주홍색이나 후에 퇴색하며, 갓 둘레는 파도형이고, 조직은 백색이다.
    자실층은 주름살 모양의 내린형이며 연락맥이 있고, 담홍색이다.
    대는 원통형, 또는 기부가 가늘고 매끄럽거나 선이 있으며 균모와 같은 색이며 속은 차 있고 길이는 2-5cm로 주름살은 내린주름살이며 연한 색이다.
    포자는 6-11×4-6μm로 타원형이고, 표면은 평활하고, 포자문은 백색 또는 연한 분홍색이다.
    살은 백색이고 바깥층은 적색이다.
    여름부터 가을까지 혼합림 내 땅 위에서 단생 혹은 군생한다.
    한국의 변산반도국립공원, 월출산, 만덕산, 지리산에서 자생하며, 일본, 북아메리카에 분포한다

     

    ㅇ 민주름목 꾀꼬리버섯과 꾀꼬리버섯속

    여름과 가을에 활엽수, 혼합림내 땅에서 단생 또는 군생한다. 균근성균으로 한국, 일본, 중국, 북아메리카에 분포한다.

    전체 크기가 3.5cm정도이고 갓은 1~3cm으로 처음에는 반구형이나 후에 깔때기형으로 된다. 갓표면은 평활하고 처음에는 주홍색~적황색이다. 갓둘레는 파도형이고 육질은 얇다.

    자실층은 주름살모양으로 내린형이며 암홍색이며 연락맥이 있다.

    대는 원통형으로 표면은 평활하고 등홍색이고, 차 있다.
    냄세가 상큼한게 살구향이 난다.

    ㅇ 식용버섯

     

    ㅇ 민주름목 꾀꼬리버섯과 꾀꼬리버섯속

    여름과 가을에 활엽수, 혼합림내 땅에서 단생 또는 군생한다. 균근성균으로 한국, 일본, 중국, 북아메리카에 분포한다.

    전체 크기가 3.5cm정도이고 갓은 1~3cm으로 처음에는 반구형이나 후에 깔때기형으로 된다. 갓표면은 평활하고 처음에는 주홍색~적황색이다. 갓둘레는 파도형이고 육질은 얇다.

    자실층은 주름살모양으로 내린형이며 암홍색이며 연락맥이 있다.

    대는 원통형으로 표면은 평활하고 등홍색이고, 차 있다.
    냄세가 상큼한게 살구향이 난다.

    * 2004년 : 유균시에는너무 작아서 깔대기형인지 몰랐다. 다만 분홍의 자태가 아름답다고 생각했는데 일주일뒤에 다시 핀 것은 크고 자태도 뚜렷했다.
      2005년 : 2004년에 핀 곳에서는 몰 수가 없었다. 이수봉쪽 경사면에 빨간 것이 피어 있어 보니, 붉은꾀꼬리버섯이었다. 작년 것에 비해 훨씬 색이 붉고 크기도 컷다. 살구향도 훨씬 강했다.

    ㅇ 식용버섯

    ㅇ 버섯요리
          볶음

     

     

     

     

     

     
    • 생물학적 분류

      꾀꼬리버섯과 > 꾀꼬리버섯속

    • 분포지역

      가야산, 두륜산, 방태산

    특징

    균모의 지름은 2~4cm로 표면은 주홍색이고 매끄럽거나 거칠며, 오래 되면 퇴색한다. 자실체는 육질이다. 균모는 둥근산 모양 또는 가운데가 오목한 형을 거쳐 깔대기 모양으로 되며 때로는 부정형이 되기도 한다. 가장자리는 안쪽으로 말리고 물결 모양이거나 얕게 갈라지며, 표면과 같은색이다. 살은 백색이고 바깥층은 적색이다. 주름살은 내린주름살이며 연한 색이다.자루의 길이는 2~5cm로 원통형, 또는 기부가 가늘고 매끄럽거나 줄무늬 선이 있으며 균모와 같은 색이며 속은 차 있다. 포자의 크기는 8~9×5~6㎛이고 타원형이고 표면은 매끄러우며, 포자문은 백색 또는 연한 분홍색이다. 발생은 여름에서 가을사이에 숲속의 땅에 군생 또는 단생한다. 분포는 한국에서는 변산반도국립공원, 월출산, 만덕산, 지리산과 일본, 북아메리카에 분포한다.

    [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