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석잠풀(초석잠)의 효능
    산야초/산야초(초본) 2013. 6. 14. 11:12

     

    석잠풀(Stachys riederi var. japonica): 꿀풀과의 여러해살이풀

     

    흔히 논두렁이나 밭둑 또는 습기가 있는 풀밭에서 자란다.  하얀 뿌리는 줄기가 길 게 옆으로 뻗으며 끝에가서 약간 통통하게 괴근이 뭉쳐있다. 네모진 줄기는 40~70센티미터 높이로 곧게 자라며 가지가 갈라진다.  줄기에 마주나는 피침형 잎은 끝이 뾰족하며 가장자리에는 톱니가 있다.  잎은 위로 갈수록 점차 작아진다.  6~9월에 줄기 윗부분의 잎겨드랑이에 분홍색 꽃이 촘촘히 돌려 가며 층층으로 달린다. 꽃은 입술 모양이며 아랫입술꽃잎은 3갈래로 갈라진다.

    중국에서 나는 초석잠은 누에나 골뱅이처럼 괴근이 굵고 나사 모양으로 깊게 파여있어 구별된다.

    꿀풀과(Labiatae)의 석잠풀속(Stachys Linne)은 전세계 약 300종이 있으며 우리나라에는 4개의 변종이 자라고 있다. 

    석잠풀속의 특징은 1~2년초 또는 다년초이며 또는 소관목이고 잎은 갈라지지 않고, 가장자리에 톱니가 있다. 

    꽃은 줄기 끝에 층층으로 들러붙는 이삭화서 모양으로 달린다.  꽃받침에는 5~10개의 맥이 있고, 고르게 5갈래이며 화관통은 안쪽에 보통 털고리가 있고, 입술 모양이며 수술은 2강 웅예이고, 열매는 소견과이며 꽃받침 속에 들어 있다. 

    평안남도와 황해도에서 자라는 우단석잠풀이 있고 석잠풀, 개석잠풀, 털석잠풀이 있다. 

    어린순을 나물로 먹거나 식용 및 약용한다.

     

     

    [불면증, 기침, 지혈, 종양, 신경쇠약, 뱀에 물린데, 피부병, 고혈압, 진정작용]

    북한에서 펴낸 <동의학사전>에서는 석잠풀에 대해서 이렇게 적고 있다.

    [계소(?蘇) // 석잠풀, 토석잠 // [본초]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풀인 석잠풀(Stachys baicalensis Fisch. ex Benth.)의 전초를 말린 것이다.  각지의 들판에서 자란다. 

    여름에 전초를 베어 햇볕에서 말린다.  전초에는 사포닌, 알칼로이드, 탄닌, 유기산 등이 있다. 

    약리실험에서 강압작용, 진정작용이 밝혀졌다.  알코올 추출물은 자궁수축작용, 지혈작용을 나타낸다. 

    고혈압병, 심장혈관신경증, 신경흥분성이 높아진 데, 불면증 등에 쓴다.  민간에서는 피부병, 신경쇠약, 해소, 사교창(뱀에 물린데), 종양(腫瘍)등에 쓴다.  이밖에 발한약(發汗藥), 구풍약(驅風藥)으로도 쓴다.]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baromi-/8xJ0/1383?docid=1GjGA|8xJ0|1383|20090612205833]

     

    북한에서 펴낸 <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석잠풀에 대해서 이렇게 기록하고 있다.

    [석잠풀(Stachys baicalensis Fisch. ex Benth. {S. japonica Miq.})

    다른 이름: 석잠, 토석잠

    식물: 높이 약 7미터 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버들잎 모양이고 톱니가 있다.  여름철에 연한 붉은색꽃이 핀다.  각지의 들판에서 자란다. 
    성분: 전초에 사포닌, 알칼로이드, 5%의 탄닌질, 2%의 유기산, 수지, 안토시안 화합물, 플라보노이드가 있다.

    뿌리에는 쿠마린 반응이 있는 한편 비타민 성분과 4당류인 스타키오스가 있다.

    작용: 전초는 혈압을 내리며 진정작용이 있다.  그 작용의 세기는 익모초보다 2배나 세다고 한다.  적은 양에서 혈압을 약간 높이며 많은 양에서는 동맥압을 낮춘다.  또한 전초의 30~50% 알코올 추출물은 자궁수축작용과 지혈작용이 있다.응용: 혈압내림약, 진정약으로 고혈압, 심장핏줄신경증, 신경흥분성이 높아진 때, 잠이 오지 않을 때, 심근질병에 쓴다.  민간에서는 땀내기약, 피부질병 치료약, 신경쇠약 치료약으로 쓴다.  또한 구풍약, 기침약, 피멎이약, 종양 치료약으로 쓰며, 뱀에 물린 데에도 쓴다. 

    전초의 30~50% 알코올 추출물을 만들어 산후 질병에 쓴다.]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dlfptksdkrghl/Ir91/4?docid=15ZE9|Ir91|4|20090627134859]

     

     

    우리나라에는 석잠풀속(Stachys)의 종류가 4가지 나오는데 모두 식용이 가능하며 약용한다. 

    이창복씨의 <대한식물도감>과 이영노씨의 <한국식물도감> 그리고 한국자원식물연구소에서 발행한 <한국식물대보감>의 내용을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1, 석잠풀(Stachys riederi Chamisso var.japonica Hara (S.japonica Miquel, 일본: 조센 이누 고마, 케나쉬 이누 고마)
       효능: (해열, 해수, 폐렴, 태독, 활혈, 하혈, 종기 염증, 진통, 경풍, 맹장염, 인후통, 청열이뇨, 미열, 몸이 붓는데)
       성미: (맛은 달고 쓰며 성질은 서늘하다.)
       용도: (양봉, 식용, 약용)

     

       

    2, 개석잠풀(Stachys riederi Chamisso var. intermedia (Kudo) Kitamura, 일본: 이누 고마)
       효능: (해열, 해수, 폐렴, 태독, 활혈, 하혈, 종기 염증, 진통, 정혈, 복통, 경풍, 맹장염, 인후통)
       용도: (양봉, 식품, 식용, 약용)

     

    3, 우단석잠풀(Stachys palustris Linne var. imaii Nakai, 일본: 비로도 쵸로기)
       효능: (맹장염, 해열, 해수, 폐렴, 태독, 정혈, 하혈, 종기 염증, 진정, 복통, 경풍)
       용도: (식용, 약용)

     

    4, 털석잠풀(Stachys riederi Chamisso var. villosa Hara, 일본: 에조 이누 고마)
       효능: (해열, 해수, 폐렴, 태독, 활혈, 하혈, 종기 염증, 진정, 복통, 경풍, 맹장염)
       용도: (식용, 약용) 

     [이미지 출처 http://blog.daum.net/tongllll/12346321]

     

    중국에서 펴낸 <중국본초도감> 과 <중약대사전>에서는 꿀풀과 석잠풀속(Stachys)의 종류가 5가지 나오는데 모두 약용한다. 

    중국땅에 자라는 5가지 종류를 정리하면 아래와 같다.

     

    1, 수소(水蘇): (Stachys baicalensis Fisch.)
       이명: (개조, 계소, 향소, 용뇌박하, 개목, 노조, 야자소, 산승마, 오뇌공, 붕두초, 진사초, 수계소, 석잠, 토석잠, 석잠풀)
       효능: (기순환조절, 지혈, 소염, 감기, 콜레라, 폐위, 폐옹, 두풍목현, 구취, 인후통, 이질, 산후 중풍, 토혈, 비출혈, 혈붕, 혈림, 탁박상, 고혈압, 진정약, 심장핏줄신경증, 신경흥분성이 높아진때, 불면증, 심근질병, 발한, 피부질병, 신경쇠약, 구풍, 종양치료약, 뱀에 물린데, 산후질병)
       성미: (맛은 맵고 성질은 약간 따뜻하다.) 
       용법: (하루 12~20그램 신선한 것은 20~40그램 탕, 환, 산 또는 찧어 즙을 내며 외용시 달인물로 씻거나 가루내어 살포 또는 바른다.)
       채취: (7~8월에 채취)
       주의: (진기가 주산하니 허한 환자는 신중히 복용한다.)

     

     


      
    2, 야감로(野甘露): (Stachys kouyangensis (Vant) Dunn.)
       이명: (파포초, 토석잠, 동충초, 수소, 서남수소)
       효능: (소염, 해독, 배농, 창절, 골수염엔 신선한 야감로 짓찧어 환부에 붙임, 뿌리는 폐결핵치료)

    3, 야유마(野油麻): (Stachys oblongifolia Benth.)
       이명: (지삼, 장원엽수소)
       효능: (중초를 튼튼하게함, 지혈, 생기, 만성설사, 만성이질, 병후 허약 개선, 외상 출혈)
       성미: (맛은 맵고 약간 달며 성질은 따뜻하다.)
       채취: (여름, 가을 채취)
       용법: (하루 20~30그램 물로 달여서 복용한다.)

    4, 광엽수소(光葉水蘇): (Stachys palustris L.)
       이명: (망강청, 천지마, 백마란, 니등심, 야지잠, 백근초)
       효능: (해열, 가래, 항균, 소염, 풍열해수, 목구멍붓고 아픈 증상, 백일해, 이질, 대상포진, 허약체질, 편도선염, 인후염, 발성장애, 강장제)
       성미: (맛은 약간 달고 성질은 평하다.)
       채취: (봄부터 초겨울 사이에 채취)
       용법: (하루 20~40그램 물로 달여 먹으며, 외용시 짓찧은 즙 환부에 바른다.)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y.bh/aStQ/129?docid=1J2fo|aStQ|129|20090923193148]

     

    5, 초석잠(草石蠶): (Stachys Sieboldi Miq.)
       이명: (지잠, 감로자, 적로, 감로아, 토용, 보탑채, 와아채, 토충초, 지고우초, 지유)
       효능: (풍열에 의한 감기, 허로 해수, 소아 감적, 오장을 이롭게 함, 청신, 심통, 하기, 자양강장, 신체가 여위고 약할 때, 뿌리는 폐결핵 치료)
       성미: (맛은 달며 성질은 평하고 무독하다.)
       채취: (봄, 가을에 덩이줄기를 캐내어 깨끗하게 씻어서 햇볕에 말림)
       용법: (하루 전초는 20~40그램, 뿌리는 40~80그램을 달여서 복용 또는 술에 담그거나 약한 불에 쬐어 말려 가루로 만들어 복용한다.  외용시 달인물로 씻거나 찧어서 바른다.) [출처: http://blog.naver.com/imbjwoo/60054493815 ]

     

     

    석잠풀은 산이나 들, 강가의 습지에서 자라며 높이는 50㎝내외이다. 잎은 마주나고, 털이 있으며,바소꼴로 잎밑이 둥글고 끝이 날카로우며 뭉툭한 톱니가 가장자리에 있다. 꽃은 6-8월에 연 붉은색으로 피고 열매는 수과로써 둥근 모양이다.
    동속약초로는 개석잠풀, 털석잠풀 등이 있다.


    파킨슨병/치매/ 폐를 맑게하는 치료약초 [석잠풀]


    [초석잠의 신비 ]
    [뇌력증진, 노인성 치매 방지, 뇌경색 예방, 장강화의 장수채! ]
     
    기억력감퇴, 뇌세포활성화, 치매, 파킨슨병, 신경쇠약. 불면증 등에 쓴다.
    이뇨작용이 강하여 소변을 못보고 몸이 붓는 증상에 사용한다.
     
    초석잠(草石蠶), 토충초라고도 하며 꿀풀과의 여러해살이 풀이다.
    "석잠풀은 꿀풀과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식물. 학명은 Stachys riederivar. japonica Miq이다. 

    뿌리는 여러갈래로 퍼져 그 끝에는 골뱅이나 번데기 모양을 하고 줄기는 4모꼴로 약 30~60센티미터 높이로 자란다.
    꽃은 연한 홍색으로 6~9월에 핀다. 잎은 대생이고 이른 여름에 보라빛꽃이 줄기 끝에 핀다.

    초석잠의 별명은 감로자(甘露子), 적로(滴露), 감로아(甘露兒), 지잠(地蠶), 지유(地紐), 토용(土踊), 보탑채(寶塔菜) 등으로 불린다.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toombang2/9IeV/377?docid=1H8hW|9IeV|377|20090313110336]


    [초석잠의 성분 ]

    초석잠의 주성분은 탄수화물이지만 이 탄수화물은 감자 같은 전분이 아니라 모두 '올리고'당(糖)이다.

    올리고당은 장(腸)속의 유익 세균(有益細菌)을 길러 장(腸)의 기능을 좋게 한다는 사실이 알려져 있다.

    최근 '매스컴'에도 '올리고'당 함유 건강 식품에 대한 이야기가 심심찮은 것은 우리가 익히 아는 바이다.

    장(腸)의 기능이 좋아지면 영양소의 흡수도 좋아진다. 더욱 중요한 것은 장(腸)내 세균전(細菌戰)에 이기는 길이기도 하다. 
    장이 깨끗해지면 첫째 뇌(腦) 기능이 정상화된다.


    뇌세포를 활성화시키고 강화하는 물질이 있다. 앞에서 '올리고'당이 초석잠의 주요 성분으로서 장 기능을 정상화함으로써 '장청 즉 뇌청' (腸淸卽腦淸)을 실현할 수 있는 것이라고 설명한 바 있다.

     

     

     

    [청산 '칼리' 주사 실험 ]
    그런데 일본의 일본의 '야마하라 조오지' 의학 박사 '팀'이 1990년 「약학잡지(藥學雜誌)」(110권, P 932 ~ 935)에 발표한 바에 의하면 초석잠이'올리고'당에 의한 장정화(腸?化)→뇌정상화(腦正常化) 이상의 뇌활성화물질(活性化物質)이 있다는 것이다.


    다음에 '야마하라' 박사 "팀"이 실시한 실험을 간추려 소개해 둔다. 쥐에 KCN(청산)칼리를 주사하면 뇌 속의 산소 부족을 초래해 곧 죽어 버린다. 실험에서는 청산 '칼리' 주사를 놓은 쥐들을 3개조(組)로 나누어 그 하나는 주사하기 전에 아무것도 안 준 것,
    또 하나는 초석잠 삶은 물 1.5그램을 준 것, 나머지 하나는 3그램을 준 것으로 나누어 주사(注射) 후 몇 시간을 생존할 수 있는가를 알아 보았다.

     

    초석잠액 먹인 쥐는 3배나 오래 살았다.
    오랜 시간 생존한다는 것은 청산(靑酸) '칼리'작용으로 산소 부족이 된 상태라도 뇌 세포가 활발하게 생리 작용을 계속해 산소 부족에 저항하고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즉 오래 생존한 쥐일수록 그만큼 뇌기능이 활발했다는 셈이다.

    실험 결과 아무 것도 주지 않고 청산 '칼리'주사를 맞은 조는 평균 생존 기간이 33.37초였다. 이에 대해 초석잠 끓인 액을 1.5그램 준 조는 73.62초로 약 2배 이상 더 생존했고,초석잠액 3그램을 준 조는 97.65초로 약 3배나 오래 살았다. 확실히 초석잠 액을 준 조는 오래 생존한 것이다. 이 실험으로 초석잠에는 뇌세포를 활성화시키는 작용이 있다는 사실이 과학적으로 실증된 것이다. 즉 초석잠은 뇌경색 예방과 그 후유증의 개선에 효과가 있고 나아가서 노인성 치매를 방지하는 효과도 기대되는 것이다. 필자는 이밖에 기억력 증진, 사고작용의 순발력 강화, 뇌성 마비, 모든 중풍증, '파킨슨'씨 병 등에도 효과가 있을 것으로 확신한다.


    '야마하라' 박사 '팀'은 그후에도 실험을 계속한 결과 위의 작용은 초석잠에 함유되어 있는  '페닐에타노이드' 배당체라는 성분 때문이라는 사실도 밝혀 냈다고 한다. 이 성분은 딴 식물에는 거의 볼 수 없는 초석잠 특유의 성분이라고 한다.
     

     


    '콜레스테롤' 조절로 동맥 경화의 방지 및 간기능 강화로 간경화, 지방간의 예방, 치유하는 물질이 있다.

    초석잠에는 앞에서 말한 성분 이외에 '스타키드린', '스타키오스', '아르긴'산, '콜린' 및 '비타민' B4가 있다. 이중 '콜린'은 '비타민'B군에 속하는 놀라운 생화학 작용을 하는 물질이다. 이것은 간장에 지방이 지나치게 쌓이지 않게 한다.  

     

    '콜레스테롤' 대사에 관여해서 동맥경화의 예방, 치료에 효과가 있다.
    즉 '콜레스테롤'이 동맥이나 담낭에 지나치게 축적되지 않게 하기 위해 그것을 유화(乳化)하는 작용을 하는 것이다.

    '콜린'은 혈액과 뇌장벽을 뚫고 들어갈 수 있는 희귀물질의 하나다.  '콜린'은 이 장벽을 뚫고 들어가 뇌세포에 직접 작용해서 기억을 돕는 생화학 물질을 만들어 낸다.

     

    또 '콜린'은 신경을 자극하는 신호를 보내는 작용도 한다. 특히 기억을 회생시키기 위해 뇌 속에서 생기는 신호에 작용한다.
    그래서 나이와 함께 기억력이 쇠퇴해 가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간장의 기능을 촉진함으로써 인체의 조직에 쌓인 독소나 약물을 배제하는 것을 돕는 작용이 있어 간경화나 지방간의 형성을 막는다.
     
    또 '콜린'은 신경의 진정을 돕는 작용도 한다. 노인성 치매 즉 '알츠하이머'병의 예방에 도움이 된다. 이는 앞에서 말한 '페닐에타노이드'배당체와 함께 노인의 망령기 방지, 기억력 증진 등에 크게 도움이 되는 것으로 이해된다. 젊은 사람 특히 입시, 승진 시험 등으로 기억력 증진이 필요한 사람은 '콜린'성분이 있는 초석잠을 일상의 식사에 부식이나 음료로 도입할 필요가 있다.

     

    북한에서 펴낸<약초의 성분과 이용>에서는 이렇게 적고 있다.
      “석잠풀은 석잠, 토석잠 이라고도 한다. 높이 약 70센티미터 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잎은 버들잎 모양이고 톱니가 있다. 여름철에 연한 붉은색꽃이 핀다. 4월에 뿌리를 채취하여 달여서 소금을 찍어 복용한다.”
    성분은 전초에 사포닌, 알칼로이드, 5퍼센트의 탄닌질, 2퍼센트의 유기산, 수지, 안토시안 화합물, 플라보노이드가 있다. 
    뿌리에는 쿠마린 반응이 있는 한편 비타민 성분과 4당류인 스타키오스가 있다. 
    전초는 혈압을 내리며 진정작용이 있다. 그 작용의 세기는 익모초보다 2배나 세다고 한다.
    뿌리는 수주상이고 늙은 누에와 비슷하며 5월에 뿌리를 채취하여 쪄서 복용한다. 맛은 백합과 비슷하고 무우나 김치를 절인 소금물에 담가놓으면 검어지지 않는다. 된장에 담그거나 꿀에 담그면 반찬이 되고 또 과자도 된다.
     

    초석잠의 뿌리는 생것은 쪄서 먹으면 달고 맛이 있다. 또 무우 김치 국물이나 일반 배추김치 국물에 담궈 두면 검게 색이 변하지 않는다. 또 장아찌로 담궈 먹으면 일품이고 꿀에 재어 먹으면 채소로도 정과(正果)로도 이용할 수 있다.

     
    차로 이용하는 경우는 잘게 썬 것을 무쇠솥에서 향내가 나도록 볶아 두고 매일 3~5그램씩 달여 마신다. 장복하면 두뇌 건강 뿐만

    아니라 각종 풍증과 신경통 등에 좋다. 뿐만 아니라 건강 전반이 호전되는 일류 건강차인 동시에 기호차가 될 수 있다."

    적은 양에서 혈압을 약간 높이며 많은 양에서는 동맥압을 낮춘다.
     
    또한 전초의 30~50퍼센트 알코올 추출물은 자궁수축작용과 피멎이작용이 있다. 
    혈압내림약, 진정약으로 고혈압, 심장핏줄신경증, 신경흥분성이 높아진 때, 잠이 오지 않을 때, 심근질병에 쓴다.


    석잠풀은 여름에서 가을철 사이에 꽃이 계속 피는 동안 언제든지 채취하여 햇볕에 말려 썰어서 하루 10~20그램을 물로 달여서

    또는 환을 짓거나 가루내어 먹으면 된다.

     

    [초석잠의 효능]..
     
    맛은 달면서 약간 쓰거나 매우며 성질은 따뜻하며 독이 전혀 없으며. 발한, 이기, 지혈, 소종의 효능이 있어 감모, 두통, 인후염, 기관지염, 폐농양, 토혈, 요혈, 변혈, 월경과다, 월경불순, 자궁염, 종독, 폐결핵, 기침, 신경쇠약, 불면증, 고혈압, 피부병, 종양, 코피, 허약체질, 뱀에 물린데, 파킨슨씨병, 치매인 알츠하이머병,간경화나 지방간치유에 적응함 .동맥경화, 허로 해수, 소아 감적, 폐병, 기억력감퇴, 뇌세포활성화 등에 효험이 있는것으로 볼수있다. 
     
    석잠풀은 산이나 들, 강가의 습지에서 자라며 높이는 50㎝내외이다. 잎은 마주나고, 털이 있으며,바소꼴로 잎밑이 둥글고 끝이 날카로우며 뭉툭한 톱니가 가장자리에 있다. 꽃은 6-8월에 연 붉은색으로 피고 열매는 수과로써 둥근 모양이다.
    동속약초로는 개석잠풀, 털석잠풀 등이 있다. [자료출처:http://cafe.daum.net/samchasa/2Es0/1418]

    이미지를 클릭하면 원본을 보실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okok4113/62fK/226?docid=1A3hc|62fK|226|20080911203516]

     

    [초석잠 초절임 제조]

    수확한 초석잠 괴경을 깨끗이 세척 후 물기를 제거하여 초석잠을 준비한다. 표 1의 배합비와 같이 준비된 침지액을 끓인 후 80도 정도로 식힌 후 용기에 준비된 초석잠 괴경을 넣고 침지액을 부은 후 밀봉하여 제조한다

    공통재료:                                                                                    

    *소금 10g

    *설탕 150g

    *식초 100ml

    *초석잠 120g

    *물360ml

    *통후추 1g

    *정향0.4g

    *월계수 잎 0.2g

     

     

     

     

     

    2.초석잠 파우더의 제조

     수확된 초석잠 괴경을 깨끗이 세척 후 물기를 제거하여 시료를 준비한다. 초석잠 괴경의 갈변방지를 위한 갈변억제제로, 염용액과 1, 구연산 용액을 농도별로 각각 준비하여 준비된 초석잠 괴경을 1시간 침지한다. 물기를 제거 후 열풍 40도에서 건조한 뒤 분쇄기를 이용하여분말화 한다.

     

    3.고추장재조

     고추장의 운료 배합은 찹살10.4%, 고춧가루 13%, 매주가루 6%, 물엿 31.4%, 물41.9%, 엿기름 1.75%의 비율로 하였고, 찹쌀량을 100%로 환산시 10%량에 해당하는 초석잠 파우더를 대체 첨가하여 고추장을 제조하였고, 옹기에 저장하여 상온에서 발효함.

     

    4.국수면의 제조

     중력분 밀가루 70%, 물 30%, 식염 1%을 배합비로 하여 중력분 밀가루 대비 초석잠 파우더1%를 각각 첨가한 반죽을 제조한 후 제면기로 제면하여 그늘에서 말려 국수면을 완성하였다.

     

    초석잠 재배방법

    -파종시기 : (4월5일~20일)

    -재식방법 : 60x45(120x45)

    -멀칭 : PT흑색필름

    -퇴비 : 유기질비료(300kg/10a)-(우분+돈분57%+톱밥40%+미강(쌀겨)3%)

    -종구크기 : 클수로 생육과 수확량이 증가(적은 종구는 2개씩)

    -

     위 내용은 농촌진흥원에서 시행한 지역특화기술개발사업의 연구결과임.....

    '산야초 > 산야초(초본)'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구리발톱의 효능  (0) 2013.06.14
    패모(貝母)의 효능  (0) 2013.06.14
    금전초(긴병꽃풀)의 효능  (0) 2013.06.14
    홍화(잇꽃)의 효능  (0) 2013.06.14
    속단(산토끼풀)의 효능  (0) 2013.06.14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