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매자나무,매자나무 어린순의 효능
    산야초/산야초(목본) 2013. 6. 12. 11:50

     

    매자나무 [Berberis koreana]:매자나무과(―科 Berberidaceae)에 속하는 낙엽관목.
     
    가지에 홈이 패어 있으며 가시가 나 있다. 잎은 조금 두껍고 난형이며 모여나거나 어긋나는데, 잎가장자리에는 뾰족한 톱니들이 고르지 않게 나 있다. 노란색의 꽃은 5월에 총상(總狀)꽃차례로 핀다. 열매는 둥근 장과(漿果)로 9월에 붉게 익으며 이때 잎도 함께 붉은색으로 물든다. 매자나무를 비롯한 매자나무속(―屬 Berberis) 식물의 뿌리와 줄기를 그늘에서 말린 것을 소벽(小蘗)이라고 하는데, 한방에서 해열제·해독제로 쓰고 있으며, 눈병에 걸렸을 때 소벽을 삶은 물로 씻으면 좋다고 한다. 잎은 독성이 있어 그냥 먹으면 위험하다. 한국에서만 자라는 특산종으로 경기도와 강원도 북쪽 지방에서 볼 수 있으며, 산골짜기의 양지바른 곳이나 반그늘진 곳에서 자라고 추위에도 잘 견딘다.
     

     

    분류: 매자나무과 (Berberidaceae)

    동속의 다른 종들:

    당매자나무 Berberis poiretii C.K.Schneid. 

     

    섬매발톱나무(이명:섬매자나무) Berberis amurensis var. quelpaertensis Nakai 

    연밥매자나무  Berberis koreana var. ellipsoides Nakai 

    일본매자나무 Berberis thunbergii DC. 

    좁은잎매자(이명:가는잎매자나무) Berberis koreana var. angustifolia Nakai 

    매발톱나무 Berberis amurensis Rupr. var. amurensis 

    왕매발톱나무 Berberis amurensis var. latifolia Nakai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andonggilan/FsO3/766?docid=1C5rO|FsO3|766|20090526220621

     

    매자나무[황염목(黃染木)](Berberis) 꽃말 : 까다로움

    매자나무는 키가 2m를 넘지 않는 낙엽성 관목으로 우리나라가 원산지.

    홈이 많이 파인 잔가지가 많이나서 다북한 수형을 만들고 2년이상 묵으면 가지에 붉은 빛이 들고 손톱길이 만큼되는 가시가 많이 납니다. 한방에서는 매자나무나 매발톱나무,당매자나무 등 유사한 나무들이 모두 함께 이용되는데  소염,자약, 산석류 등으로 부릅니다. 줄기는 황염목이라고 하여 봄이나 가을에 줄기를 베어 가시를 제거한 후 다듬어 말려 쓴다고 합니다.

     

    이미지 출처 http://blog.daum.net/haonan/16447458

     

    <동의보감>에는 줄기를 달인 물로 입가심을 하면 입이 헐었을 때 좋다고 적혀 있으며 건위약으로 또는 결막염 등에 씁니다.


    뿌리의 껍질은 산후 출혈에 쓰며 잎은 꽃이 필 즈음 하여 뜯어 말려서 쓰는데 지혈과 자궁 수축, 혈압 강하 작용이 있으며 특히 담낭에 질병이 있을 때에 통증과 염증을 줄이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잎을 약으로 쓸 때 돼지고기의 살코기를 함께 약한 불에 삶아서 먹는다는 처방도 기록되어 있습니다.

    열매를 달인 물은 위병, 입안 염증, 폐렴에 씁니다.


    매자나무의 어린 순은 따서 나물로고 해 먹울 수 있는데 그냥 먹으면 쓴 맛이 나므로 잘 데쳐서 우려 낸 다음 양념을 해야 하며, 북한에서는 매자나무 열매로 청을 만들어 끓여서 앙금을 걸러 보관했다가 물에 타서 청량 음료 대신 마시기도 한다고 전합니다.


    [약효 ]

      淸熱(청열), 燥濕(조습), 消炎(소염), 해독의 효능이 있다. 급성장염, 이질,  황달,

      熱痺(열비-熱性 全身症狀(열성 전신증상)에 수반하는 痺證(비증)), 나력, 폐렴, 인후부의 염증,

     骨蒸(골증-結核性發熱(결핵성발열)), 결막염,     癰腫(옹종), 瘡癤(창절), 血崩(혈붕)을 치료한다.


    [용법/용량 : ]

      3-9g을 달이거나 돼지의 살코기와 같이 약한 불로 삶아서 먹 는다.

     <외용> 煎液(전액)을 點眼(점안)하거나 粉末(분말)하여 살포 또는 煎液(전액)을 가열하여 바른다.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