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윤일균 - 청미천에서
    시(詩)/시(詩) 2019. 11. 20. 21:26


    예서 속 깊은 가을의 소리를 듣는다
    개개비도 떠난 들녘
    오랜 벗 같은 사람 하나
    기울어진 농가 앞을 저물도록 서성거린다
    고봉밥 먹여주던 큰 들 지나서
    일백육십 리 물길 아프게 굽이쳐 흘러 남한강에 이르도록
    네가 키운 건 돌붕어 모래무지 메기만이 아니다,
    말하자면 청춘의 재 너머
    기약 없이 흔들리는 시대의 물빛으로 너는
    금모래 언덕 남한강 갈대들을
    품마다 온종일 끌어안고서 앓다만 감나무처럼 서있다
    애써, 벗 같은 사람 하나 이 가을을 뒤척인다
    때론 남기어진 상처들을 빗금처럼 바라본다
    들국처럼 고요히 미소 짓다가 혹은 물빛으로 반짝이다가
    엎어져 금모래빛 유년의 강가에서 노니는 꿈을 마신다
    합수머리 모래언덕
    고개 숙인 갈대 모가지에 옛 그림자가 머물다 가고
    동부래기 울음이 한참을 허공을 맴돌다 간다

     

    내 아비의 탯줄은 아직도 예서 머물고 있는가
    먹빛 그림자 어두운 빈자리
    납작 엎드린 농가에서 달려 나오는 홀아비 삼촌의 해수기침소리
    그 밤, 다시 뜬소문처럼 찾아들 때
    흰 가루약으로 하얗게 부서져 흐르는
    여주 점동면 도리마을 청미천가에서
    나는
    아직껏 돌아오지 않는
    그 사람을 기다리고 있을 뿐이다.

    청미천(川) : 길이 37.56km, 유역면적 399.42㎢이다.

    경기 용인시 원삼면()에서 발원하여 동류하여, 안성시 일죽면(), 이천시 장호원읍을 지나

    경기·강원·충북 3도가 접하는 지점인 여주시 점동면() 장안리에서 남한강으로 흘러든다.

    상류에서부터 방초천()·죽산천()·석원천()·응천()·금곡천() 등의 작은 지류와 만난다.

    경기 남부 지역의 관개수원으로서 큰 몫을 한다.

    (그림 : 이황 화백)

    '시(詩) > 시(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유희경 - 우산의 고향  (0) 2019.11.23
    최정신 - 골목을 수배합니다  (0) 2019.11.23
    나병춘 - 강아지풀  (0) 2019.11.20
    박숙이 - 그녀의 구두  (0) 2019.11.18
    이담하 - 낮잠  (0) 2019.11.18
Designed by Tisto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