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활나물(농길리膿吉利,야백합野百合)
    산야초/산야초(초본) 2013. 6. 14. 10:38

     

    활나물 (콩 科):활나물속[Crotalaria Linne`]  英 : Rattlebox  日 : Tanuki-mame Zoku

    세계의 열대와 난대 지방에 약 600종, 우리 나라에는 1종, 초본 또는 관목,

    잎은 홑잎 또는 손바닥 모양으로 된 겹잎. 턱잎은 뚜렸함.꽃은 줄기 끝에 총상화서를 이루거나 1송이씩 붙음.

    꽃밥은     대소로 되어 교대로 늘어섬. 열매는 협과, 타원형.

    -자료 : 이영노 저 "한국식물도감"-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herbclass/KGb8/190?docid=1HJGm|KGb8|190|20090601033848]

     

    1년초로 높이 20~50Cm인 줄기에 위로향한 털이 있다. 잎은 호생하며 광선형 또는 피침형이고 2.5~10Cm 폭 3~10mm인데 뒷면에 털이 있다. 꽃은 7~9월에 줄기 끝에 穗狀으로 달리고 청자색이다. 꽃받침은 2개로 깊게 갈라지고 다시 윗쪽의 것이 2개로 아랫쪽의 것은 3개로 갈라져서 꽃과 열매를 감싼다. 과시에는 길이 10~15mm로 되고 겉에 갈색의 장모가 밀생한다.

    열매는 장타원형이고 길이 10~12mm이다.

    ♠ 암의 억제 치료를 위해서는 꽃, 잎, 줄기를 하루에 60~120g을 진하게 달 여 3~4개월 계속 섭취해야 한다.그늘에 말린 것 120g을 물 다섯 사발이 두 사발이 될 때 까지 삶아서 매일 60~120g정도를 마시면 4,5개월 뒤 효과를 본다.

    ♠유방암에는 활나물의 모든 부분을 하루에 15~30g을 달여 섭취하거나 날 것을 찧어 헝겊에 발라 하루 두 번 갈아 붙인다

    ♠피부암, 자궁경부암, 음부암, 직장암에 전초가루 또는 물로 이겨서 바르거나 전초알약 또는 단물을 만들어 하루 60-120g씩 먹는다. 3~4개월 치료하면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kllida/LHHl/50?docid=swkv|LHHl|50|20090914211521]

    [이용방안 및 효능]

     

    ▶전초(全草)를 野百合(야백합)이라 하며 약용한다.
    ①여름에서 가을철의 개화시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다.
    ②성분 : 7종의 alkaloid가 함유되어 있으며 그 중에서 함유량이 비교적 많은 것은 monocrotaline 외 2종이다. Monocrotaline의 함량은 전초의 약 0.02%, 종자에는 약 0.4%이다.
    ③약효 : 淸熱(청열), 利濕(이습), 消腫(소종), 해독의 효능이 있다. 이질, 炎症性發熱(염증성발열), 小便不利(소변불리), 腹水(복수), 水腫(수종), 耳鳴(이명), 眩暈(현운), 癌腫(암종), 小兒疳積(소아감적)을 치료한다. 최근에는 암치료에 試用(시용)되고 있다.
    ※암 치료에 외용, 내복, 주사제로 이용되며, 종양 치료에는 생약을 3~4개월 가량 매일 60~120g 사용한다. 항암작용, 피부암, 자궁경암, 음경암, 유선암, 위암, 간암, 식도암, 폐암 및 만성기관지염에 효과가 높다.
    ④용법/용량 : 15-30g을 달여서 복용한다. <외용> 짓찧어서 붙인다.

     

    전초는 감미(甘味)가 있고 성(性)은 온(溫)하며 약간의 독이 있다. 한명(漢名)은 농길리(農吉利)이다.

     

     

    -자료:국가생물종지식정보시스템-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bklovewildflower/AG5o/4092?docid=18gCd|AG5o|4092|20090914183209

     

    [활나물]
    산과 들의 양지쪽 풀밭에서 자란다. 높이 20∼70cm이다. 위에서 가지가 갈라지며 잎의 표면을 제외하고는 전체에 털이 있다. 잎은 어긋나고 넓은 선형으로 길이 4∼10cm, 나비 3∼10mm이다. 턱잎이 있다. 꽃은 7∼9월에 피고 하늘색이며, 줄기와 가지 끝에 수상꽃차례로 달린다. 꽃받침은 꽃이 진 다음 자라서 열매를 둘러싼다. 포는 선형으로 길이 5∼8mm이다.
    꽃잎의 길이는 1cm 정도이다. 꽃받침은 2개로 갈라지며 위는 2개, 아래는 3개로 다시 갈라진다. 용골판은 백색이며 끝부분이 하늘색이다. 열매는 9∼10월에 결실하며 협과이다. 꼬투리는 타원형이고 갈색 털이 밀생하며 2개로 갈라진다. 식물의 지상부를 야백합(野百合)이라 한다. 이뇨제나 뱀독의 해독에 이용하며 항암성분도 있다. 한국·중국·타이완·인도·필리핀 등지에 분포한다.

    [이미지 출처http://blog.daum.net/dhjfrzl7/8491332]

     

    [활나물의 효능]

    이른봄에 연한 활나물을 끓는물에 데쳐서 건조한뒤 물에 불궈서 나물로 볶아 먹기도 한다.  지상부를 약용한다 , 성질은 감미(甘味)롭고 온(溫)하며 약간의 독이 있다. 전초에 7종의 식물염기(alkaloid)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데, 함유량이 비교적 많은 것은 monocrotaline 외 2종이고, Monocrotaline의 함량은 전초에 0.02%, 종자에 약 0.4% 함유되어 있다. 그밖에 페놀성 물질, 아미노산, 점액질 등도 함유되어 있다.
    한방 및 민간에서 전초를 야백합(野百合)이라 하고 한명으로 농길리(農吉利)라 하는데, 종양치료에는 생약을 매일 60-120g씩 3-4개월간 사용하고, 항암작용(마우스육종 180, 백혈병 L615,  렛드의 W-alker 암 256에 대하여 억제작용), 피부암, 자궁경암, 음경암, 유선암, 위암, 간암, 식도암, 폐암 등에 주사제(50%, 100%, 1Amp<2cc>)로 사용하거나 외용제로 사용하며 , 여름에서 가을철의 개화시에 채취하여 햇볕에 말린 것을 달여서 내복한다.
    이밖에도 청열(淸熱), 이습(利濕), 소종(消腫), 해독, 이질, 만성기관지염, 염증성발열(炎症性發熱), 소변불리(小便不利), 복수(腹水), 수종(水腫), 이명(耳鳴), 현운(眩暈), 암종(癌腫), 소아감적(小兒疳積) 등에 약용하고, 자양강장 효능이 뛰어나서 노인들의 신기음허로 인한 다뇨, 양기허쇠 등의 증상에도 약재로 사용한다.

    [이미지 출처 http://cafe.daum.net/sunyuricyh/Achh/8356?docid=JRIt|Achh|8356|20061010040106]

     

    1년초로 높이 20~50Cm인 줄기에 위로향한 털이 있다.

    잎은 호생하며 광선형 또는 피침형이고 2.5~10Cm 폭 3~10mm인데 뒷면에 털이 있다.

    꽃은 7~9월에 줄기 끝에 穗狀으로 달리고 청자색이다.

    꽃받침은 2개로 깊게 갈라지고 다시 윗쪽의 것이 2개로 아랫쪽의 것은 3개로 갈라져서 꽃과 열매를 감싼다. 과시에는 길이 10~15mm로 되고 겉에 갈색의 장모가 밀생한다.

    열매는 장타원형이고 길이 10~12mm이다.

    ♠ 암의 억제 치료를 위해서는 꽃, 잎, 줄기를 하루에 60~120g을 진하게 달 여 3~4개월 계속 섭취해야 한다.그늘에 말린 것 120g을 물 다섯 사발이 두 사발이 될 때 까지 삶아서 매일 60~120g정도를 마시면 4,5개월 뒤 효과를 본다.

    ♠유방암에는 활나물의 모든 부분을 하루에 15~30g을 달여 섭취하거나 날 것을 찧어 헝겊에 발라 하루 두 번 갈아 붙인다

    ♠피부암, 자궁경부암, 음부암, 직장암에 전초가루 또는 물로 이겨서 바르거나 전초알약 또는 단물을 만들어 하루 60-120g씩 먹는다. 3~4개월 치료하면 좋은 효과를 볼 수 있다.[자료출처: http://cafe.daum.net/mannam0073/FVUY/1046/ 지식]

    [이미지 출처http://cafe.daum.net/andonggilan/FsO3/977?docid=1C5rO|FsO3|977|20090901233855]

Designed by Tistory.